• 최종편집 2024-03-28(목)
 
이상규교수 copy.jpg
 
 부산에 정착한 호주선교사들은 버려진 아동이나 극심한 가난으로 부양할 수 없는 아동들을 위한 고아원을 열었는데, 그것이 부산지방 첫 사회복지시설인 미오라 고아원(Myoora orphanage)이었다. 이 자선기관은 교육기관의 설립을 필요로 했고 그 결과로 세워진 학교가 1895년 10월 15일 부산 동구 좌천동에 위치한 선교관에서 시작된 사립 부산진 일신여학교(私立 釜山鎭 日新女學校)였다.
‘제인 하퍼 기념학교’(Jane B. Harper Memorial School)로 불린 이 학교가 호주 장로교 선교부의 첫 교육기관이자 부산 경남지방 최초의 근대 여성 교육기관이 되었고, 적어도 해방 이전까지 경남지방 최고의 여학교로 발전하였다. ‘일신’(日新)이란 이름은 ‘날마다 새롭게’(daily new)라는 의미였다. 설립자 겸 교장은 여선교사 멘지스(Miss Belle Menzies, 閔之使)였다. 1891년 10월 내한한 그는 1902년 6월까지 10여년 간 교장으로 헌신했다. 수업연한 3개년의소학교과정으로 출발한 이 학교의 첫 한국인 교사는 부산지방 첫 수제자인 심상현의 아버지 심씨였다. 1902년 6월 14일부터 왕길지(Gelson Engel) 선교사가 제2대 교장이 되었고 1913년 3월말까지 약 13년간 봉사했다. 왕길지가 교장으로 취임할 당시 일신학교 학생은 14명에 불과했다. 이중 9명은 호주선교부가 운영하는 고아원 소녀들이었음으로 외부에서 오는 학생은 5명에 불과했다.
1904년에는 300파운드의 건축비로 새로운 선교관을 건축했는데, 일신학교 교사로 사용되기도 했다.
일신학교는 처음에는 성경과 기독교신앙을 가르쳤고, 일반과목으로 수신(修身), 한글과 한문, 산수, 체조 등이 전부였다. 1900년 이후에는 당시의 교육과정을 따라 수신, 국어(일본어), 조선어, 한문, 역사, 지리, 산술,이과, 가사, 습자, 도화, 재봉 및 수예, 음악, 체조 등을 가르쳤다. 1905년 당시 재학생수는 46명 혹은 50여명이었는데, 1909년 3월에는 동구 좌천동 768번지에 신축교사를 건립했다. 호주선교부가 건축한 세 번째 건물이었다. 이 건물이 현재 ‘부산진일신여학교 교사’ 로 알려진 현존하는 건물이다. 지금은 일신여학교 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건물은 본래 단층건물이었는데 1931년 2층을 증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렇게 건물이 세워지고 교육환경이 개선되자 1909년 8월 9일에는 학부대신의 인가를 받아 수업연한 3개년의 고등과를 신설하게 되었다. 1913년(대정2년) 3월 31일에는 제1회 졸업생 4명을 배출하게 되는데, 그들이 양한나(양귀추) 방순달 박덕술 그리고 문순검이다. 문순검(文順儉)의 졸업증서에 당시 일신에서 가르친 교사명단이 기제되어 있는데, 멘지스와 안진주(Margaret Alexander)는 선교사 교사였고, 한문을 가르친 박신연(朴信淵)과 김도선(金道善), 이탄실(李誕實), 그리고 선교사가 양육한 서매물(徐玫物) 등이 교사였음을 알 수 있다. 박신연은 1905년 내한한 켈리와 니븐의 어학선생이었고 1908년 부산진교회장로가 되었다.
1914년부터는 호주 선교부의 대마가례(Margaret Davies)가 교장이 된다. 1910년 10월 20일 내한한 그는 첫 호주 선교사의 조카로서 훌륭한 교육 선교사였다. 그가 내한할 당시 학생 수는 50여명이었으나 교장으로 취임할 무렵 재학생 수는 74명이었다. 1915년 8월 7일에는 학칙개정에 의해 수업연한 3년의 소학교를 4년으로, 고등과도 4년으로 개편했다. 1925년에는 고등과를 분리하여 동래읍 복천동 신축교사로 이전하였고 동래일신여학교로 칭했다. 그래서 호주선교부는 부산진에는 6년 과정의 보통학교 과정을, 동래에는 4년 과정의 여자고등 보통학교를 운영하게 된다. 동래에 세워진 일신여학교는 1933년 4월 12일자로 조선총독부 고시 제151호에 의해 전문학교 입학자 검정규정 제11조에 의한 ‘지정학교’(designated school)가 되어 공립(公立) 고등 보통학교와 동등한 자격을 인정받는 학교가 되었다.
호주선교부가 경영하는 동안의 역대교장은 다음과 같다. 멘지스(B. Menzies, 1895-1902), 왕길지(G. Engel, 1902-13), 안진주(M. L. Alexander, 1913-14), 대마가례(M. S. Davies, 1914-15), 안진주(M. L. Alexander, 1915-16), 대마가례(M. S. Davies, 1916-21), 위대서(M. Withers, 1921-22), 대마가례(M. S. Davies, 1922-40).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기독교이야기22] 일신여학교: 부산에서의 첫 여성교육기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