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1세기 교회의 예배 모습은?
표지.jpg
정말 얇은 책이다. 크기도 조그마한데다, 앞에 나오는 서문과 곳곳에 삽입된 그림을 제외하면 본문은 60쪽 분량도 안 된다. 그런데 행간을 읽으면 저자는 참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이 책의 번역자가 후기에다 그 내용을 죽 나열하였다. 그대로 옮긴다.
“이 책은 얼마 안 되는 분량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담아야 할 매우 다양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종과 주인, 여자와 남자, 가난한자와 부자, 아이와 어른과 노인, 가족과 독신, 해방과 자유, 세상과 교회, 직업 소명과 신분, 성만찬과 세례, 논쟁과 조정, 상황과 말씀, 식사와 성찬, 일상과 초월, 공간과 시간, 의외성과 규칙성, 참여와 권위, 본질과 형식, 치료와 치유,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 덩치만 크지 단조롭기 그지없는 오늘날의 어떤 대형 교회보다도 열아홉 명으로 이루어진 이 작은 공동체에서 우리가 오랫동안 잃어버린 교회의 본질과 다양하고 풍성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1세기 가정교회의 모습을 우리는 성경에 나타난 단편적인 내용으로 상상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책에서 언급한 가정교회의 예배 등은 스스로 밝히듯이 저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즉, 나름대로 역사적 자료에 기초했다고 하지만, 당연히 픽션이다. 그렇지만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가볍지 않다.
◈ 《1세기 교회 예배 이야기》 || 저자 로버트 뱅크스(Robert Banks)는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신약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신학자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바울의 공동체 사상》 《일상생활 속의 그리스도》 등이 있다. Ivp, 2017. 6,000원.

▌좌담: 김길구 전 부산YMCA 사무총장, 김수성 경성대 초빙외래교수, 김현호 기쁨의집 기독교서점 대표

마케도니아 빌립보 출신의 로마군인 푸블리우스가 잠시 로마에 머물면서 오랜 친구들을 따라 외곽 뒷골목에 있는 기독교인의 집을 방문했다. 그리고 돌아와서 당시의 분위기와 느낌 등을 회고한다. 식사를 하면서 음식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 자체가 예배였다.

#초대교회의 또 다른 모습 보여주는 책
김길구  저자는 이 책에서 AD 60년경의 한 가정교회 예배 모습을 통해 당시 기독교인들의 사상과 삶의 모습 등 다양한 것을 이야기합니다. 저자 스스로 밝혔듯이 이 책은 《바울의 공동체 사상》 등을 바탕으로 했기에, 이들 책을 먼저 봐야 좀 더 쉽게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김현호  이 책은 약 30년 전에 번역 출판되었는데, 그때 이 책을 읽으면서 가슴이 마구 떨렸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초대교회 모습이 이 책으로 인해 상당히 구체화되었습니다.
김길구  여기에 등장하는 아굴라와 브리스길라는 고린도교회와 에베소교회를 한동안 목숨을 내놓고 섬겼던 충실한 사역자였습니다. 저자가 이들 가정을 배경으로 설정한 것은 당시 가장 모범적인 가정교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라고 생각합니다.
김수성  그동안 우리는 ‘초대교회’ 하면 종말론과 관련해서만 생각했던 게 사실입니다. 성령의 역사로 뜨겁게 타올랐던 신앙의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했죠. 이 책은 우리에게 초대교회의 다른 모습을 구체적이고도 심도 있게 보여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김현호  오늘날 교회 지도자들이 초대교회로 돌아가자고 강조하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그 초대교회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합니다. 마가의 다락방에서 일어났던 ‘성령의 역사’만을 이야기하고는 끝입니다. 마가의 다락방이 교회의 시작은 될지언정 초대교회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는 할 수 없죠.
김길구  초대교회의 본래적인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관계와 예배를 알아야 할 것입니다. 즉, 어떤 사람들이 모였고, 그들의 상호 관계는 어떠했으며, 그들이 드린 예배의 모습은 어떠했는가, 주관심사는 무엇이었는가 하는 것을 좀 더 촘촘하게 파악해야 초대교회의 뭉뚱그린 모습이라도 드러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1세기 당시의 예배 모습을 살펴봅시다.
김현호  먼저 평신도 중심의 교회라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당시는 지금과 달리 어느 누구도 직분을 가진 자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아직 조직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겠지요. 루터가 강조했던 ‘만인제사장’이 구체화됐던 예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역예배, 초대교회 모습과 가장 닮아
김수성  저는 코이노니아가 상당히 강조되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오늘날 교회에서는 이런 코이노니아를 찾기 어렵죠. 식탁에서 함께 둘러앉아 음식을 나누며 자연스럽게 드리는 예배에서 진정한 친교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요즘 교회에서도 음식을 나누기는 하지만 이런 모습은 기대하기 어렵죠.
김길구  이들이 나눈 대화가 실제 삶과 전혀 분리되지 않은 부분도 눈여겨봐야 할 것입니다. 즉, 삶의 현장에서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일을 서로 이야기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찾는 모습입니다. 우리가 초대교회로 돌아가려면 우선 사변적이거나 교리적인 논의에 앞서, 신자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일에 대해 이야기해야 합니다.
김현호  성만찬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고민해봐야 할 부분입니다. 오늘날 교회의 성만찬은 신자들에게 형식적인 모습으로 비춰져 피동적으로 성례전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예수님의 고난이 피상적으로만 여겨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김길구  교회가 가정교회에서 교회 건물로 바뀐데 이어 실제 식사에서 성만찬이란 상징적인 식사로 바뀐 것이 이채롭네요. 당시 공동체적인 식사는 종교적이기도 하고 사교적이기도 했습니다. 저자는 《교회, 또 하나의 가족》에서 그 대안으로 가정교회를 제시합니다.
김현호  우리가 초대교회의 본래적인 모습, 즉 예배나 모임의 진정성을 얼마나 회복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최근 다시 부각된 셀(cell)교회도 초대교회를 닮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교회가 교역자 중심이라면 셀교회는 평신도 중심, 가정예배 중심입니다. 한편, 구역예배가 소극적인 모임이 아닌 하나의 ‘작은 교회’로서 이웃을 향한 열린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목회자들은 목회의 일부를 위임하고 재원을 지원해주어야 합니다. 구역 공과나 큐티 나눔 정도를 넘어설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합니다.
김수성  초대교회 당시와 지금은 모든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사회환경적으로 상당히 변했죠. 단적으로 현대에 사는 우리는 자본주의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삶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가족공동체의 모습도 바뀌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초대교회를 꿈꾸는 것은 무리가 아닐까요? 구태여 이런 환경에서 적용 가능성을 이야기한다면, 얼마 전에 필립 얀시의 《교회, 나의 고민 나의 사랑》에서 언급했던 ‘라살 스트리트 교회’가 모범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의 신분이나 형편에 관계없이 모두가 한데 어울릴 수 있는 교회의 모습이죠.

#누구든 진정으로 ‘환대’하는 모습 보여야
김길구  초대교회의 가장 큰 강점은 남녀, 신분, 빈천, 지위를 막론하고 한데 어울렸던 사실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책에 나와 있듯이 주인과 노예가 같은 자리에 앉아 똑같은 대우를 받았습니다. 신분사회라는 당시 상황에서 보면 이는 가히 혁명적인 마인드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초대교회를 닮아야 한다고 외치는 오늘날 교회에는 아직도 이러한 다양한 차별 인식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없애는 것도 초대교회를 닮아가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김현호  이와 관련하여 또 하나 생각할 것은 ‘환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이 누구든 상관없이 진정으로 이들을 맞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찌릿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김길구  상당히 중요한 지적입니다. 오늘날 교회는 익명성이라는 현대인들의 어두운 이면에 숨어 형식적인 환영에 그치는 것이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김수성  교회가 커지면서 환대가 점점 사라진 것 아닐까요? 아직도 조그마한 교회에서는 누구든 한 사람이 오면 상당히 귀한 대접을 받는 것 같습니다. 그야말로 환대를 받지요.
김현호  환대 역시 교회의 본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노예들을 귀히 여기는 모습과 같은 것입니다. 비록 19명에 불과한 사람들이 모였지만 오늘날 우리 교회가 본받아야 할 대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김길구  사학자들에 따르면, 3~4세기경에 벌써 교회의 모습이 집합적 모습으로 변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저항으로 4세기 이후 수도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초대교회의 모습이 거의 사라지는 안타까운 현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책의 출판이 우리에게 초대교회의 모습을 조금씩이라도 되찾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 간절합니다. 다음에는 고신대 이상규 교수의 《교양으로 읽는 종교개혁 이야기》를 읽고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수고했습니다. [정리: 김수성]
Judith Clingan 洹몃┝..jpg▲ 위르겐 몰트만 등에 따르면, 우리는 교회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나 조직적 이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종류의 함께하는 삶을 형성해 나가는 공동체적 이해로 옮겨가야 한다. 초대교회는 이러한 공동체적 이해를 중심으로 모인 것으로 보인다. [Judith Clingan 그림]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교회, 또 하나의 가족》 / 로버트 뱅크스 외 / Ivp
《바울의 그리스도인 공동체사상》 / 로버트 뱅크스 / 여수룬

기쁨의 집.jpg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독교 교양 읽기 30] 과연 초대교회로의 회귀는 가능한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