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821호 김수성교수 사진1.jpg
 
이 책은 ‘근본주의가 남겨준 유산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이라는 부제(副題)에서 알 수 있듯, 근본주의에 관한 책이다. 그렇다고 해서 근본주의가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저자의 이력에서 볼 수 있듯이, 근본주의의 문제점도 명확하게 드러낸다. 그러면서 근본주의에서 우리가 배울 점을 부각시킨다.
약점과 강점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약점을 바로잡으려고 강점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저자의 논지다. 강점은 강점대로 살리고, 약점은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신앙에 있어 어느 하나만을 주장하는 것도 문제이다. 그래서 서로를 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근본주의에서 주장하는 개인 구원의 중요성과, 행동주의에서 강조하는 사회의 구조적인 억압 시스템의 타파는 어느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쉽게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면서 예수 그리스도와의 개인적인 관계는 나머지 다른 모든 것들의 기반이기 때문이라고 결론짓는다.
이 책에서 ‘톱밥’은 저자가 어렸을 때 참석했던 야외전도집회 천막 아래 바닥에 깔아놓았던 톱밥길, 이 길을 따라 집회장 앞으로 걸어 나가 무릎을 꿇고 회개하라는 요청을 받았던 길의 표상이다. 즉, 톱밥길은 ‘회개의 길’을 의미한다.
◈ 《톱밥 향기》 || 저자 리처드 마우(Richard J. Mouw)는 미국 칼빈대학교 등에서 기독교 철학과 윤리학을 가르쳤고, 1993년부터 20년간 풀러신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문화와 일반 은총》 《아브라함 카이퍼》 등이 있다. 원제 The Smell of Sawdust(2000). SFC, 2016. 12,000원.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무례한 기독교》 / 리처드 마우 / Ivp
《하나님 나라를 상상하라》 / 제임스 스미스 / Ivp


복음주의의 강점은 여전히 소중하다
“인내와 겸손을 통해 ‘제2의 소박함’ 촉진해야”
 
좌담: 김길구, 김수성 경성대 초빙외래교수, 김현호 기쁨의집 기독교서점 대표
 
821호 김수성교수 사진.jpg▲ 복음주의의 가장 큰 장점인 신앙적 순수성은 어떤 경우에라도 소중하다. 이 장점을 더욱 살리면서 단점을 고쳐나갈 때 한국 교회의 미래도 밝을 것이다.[사진은 2016년 버몬트주 벌링턴에서 개최된 부흥회에서 '톱밥길'을 따라 나와 기도하는 모습, 출처:greensboro.com]
 
 
“오늘날 복음주의자들 중 스스로를 점검하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은 너무 적다. 그러나 복음주의는 바로 자기반성이 특히 어울리는 운동이다. 운동은 방향감각을 필요로 한다. 어디에서 왔고, 현재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본문 37쪽에서]
 
신앙부흥운동의 뜨거운 열기 기억해야
김길구 이 책의 저자 리처드 마우는 철저한 칼빈주의자였던 아브라함 카이퍼의 사상을 미국 복음주의에 도입한 학자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즉,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이 행사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김현호 아브라함 카이퍼는 네덜란드 신학자이자 정치가죠. 그는 국회의원을 거쳐 총리로 재직한 경력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한 신학자가 아니라 현실 참여주의자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는 등 오늘의 네덜란드가 있게 한 주역 중 한 명이었습니다.
김길구 리처드 마우가 이러한 사상의 영향으로 뒤에 ‘공공신학’의 실천자가 된 것은 우연한 결과가 아닙니다. 공공신학에서 신학은 창조, 역사, 문화, 사회, 인류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그래서 공적인 삶 속에서 교회의 위치와 교회의 사회적 형식, 그리고 사회 속에서 교회의 역할에 초점을 맞춥니다.
김수성 한마디로 종교와 세상을 분리해서 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도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다, 그러니 세상살이도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군요. 상당히 현실참여적인 신학을 이야기한 학자가 근본주의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김길구 미국 기독교의 발전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이 책이 던지는 메시지를 좀 더 정확하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즉, 저자는 미국 기독교를 청교도 신앙으로 대표되는 1세대, 복음주의 신학과 자유주의 신학이 대립하던 2세대, 그리고 상호 문제점을 뛰어넘고자 하는 3세대로 구분하여 이야기합니다.
김현호 1세대는 신앙의 자유를 찾아 ‘하나님의 땅’으로 여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던 청교도의 신앙을 그대로 이어받으려고 노력했던 세대라 할 수 있겠죠. 복음의 열정으로 똘똘 뭉친, ‘종교 대각성운동’으로 대표되는 순수한 신앙운동 시기였습니다.
김수성 이 책에서 언급된 ‘톱밥길’은 1세대 신앙인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당시 자료를 보면 대형 천막 안에 수천 명의 신도들이 모였다고 합니다. 이 책의 표지 사진은 에디 마틴의 집회 때 모습인데, 이에 앞서 드와이트 무디의 신앙부흥운동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복음주의적이지만 독선적이지 않아야
김길구 1세대 신앙부흥운동은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작용도 부각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지적하듯이 반(反)지성주의, 내세지향성, 분리주의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에서 시작된 자유주의 신학이 미국 땅에도 들어옵니다. 그러자 이들 양 진영의 대립이 첨예화되고, 그런 가운데 근본주의가 부각됩니다.
김현호 근본주의는 당시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주장은 물론, 당시 팽배하던 다원주의와 사회주의, 새로운 철학 사조와 문화 운동 등 모든 것을 비판하며 오직 성경을 모토로 전도와 선교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운동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아직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요.
김수성 저는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던 상황을 기억합니다.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 불어 닥친 교회성장론과는 달리, 한편에서는 역사비평과 양식비평, 편집비평 등의 방법론으로 기술한 신학서적들이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다 제3세계의 해방신학 서적까지 더해지자 기성교회에서는 이들 서적을 불온시하기도 하였습니다.
김길구 아이러니하게도 교회성장에 관한 이론이 연구되었던 곳이 바로 풀러신학교였습니다. 이로 인해 풀러신학교가 나중에 비판을 받기도 했죠. 어쨌든 이들 두 진영의 대립은 각자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드러냈습니다. 저자는 《무례한 기독교》라는 책에서 앞으로 나아갈 바를 적절하게 지적합니다. 첫째, 자유주의적이지 않지만 온건한 태도, 둘째, 타협하지는 않지만 정중한 태도, 셋째, 대화를 계속하겠다는 일종의 다짐, 넷째, 만약에 기독교가 자신이 있다면 더욱 세상에 대해서 겸허할 것을 주장합니다.
김현호 복음주의적이지만 독선적이지 않아야 한다, 지킬 것은 지키더라도 정중한 모습을 보여야 하고, 그럼에도 대화를 단절해서는 안 된다. 교회와 세상이라는 이분법적 인식에서 벗어나 오히려 세상의 지식도 포용해야 한다는 뜻이죠. 오늘날 우리 한국 교회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메시지라 하겠습니다.
김수성 사실 해방 이후 우리나라 교회역사를 살펴보면 정치권력과 타협한 사례가 너무도 많습니다. 특히 독재정권에 빌붙어 세력을 확장했는가 하면, 그러한 정권에 반발하는 세력을 간접적으로 탄압하기까지 했습니다. 그 후유증이 이제 하나씩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젊은이들이 교회를 외면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죠.
김현호 복음을 지킨다는 당위성을 내세우면서 오히려 교회가 독선으로 빠져들기도 했죠. 그러면서 교회의 태도가 거칠어졌습니다. 이러한 것이 복음 전파를 오히려 위축시켰습니다. 이제는 부드럽고 상냥한 태도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럴 때 모든 분야,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각자의 단점은 고치고 장점은 살려야
김길구 저자는 3세대 신앙으로 신(新)복음주의를 이야기합니다. 근본주의든 자유주의든 모두 한쪽으로 치우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니 각자의 단점은 고치고 장점은 살려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면서 근본주의의 강점으로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는 ‘톱밥 향기’를 내세웁니다. 어렸을 때 느꼈던 그 열정과 순수, 이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기독교 신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이죠.
김현호 실제로 어려서부터 신앙생활을 했던 사람들에게는, 당시의 기억과 느낌이 신앙의 버팀목이 되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어렸을 때 배웠던 것들에 허점이 많았던 것을 깨닫지만, 그럼에도 주일학교에서 체험했던 신앙적 순수성이 있기에 온전히 버틸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김수성 근본주의 못지않게 자유주의 신학에 따른 문제점도 있었습니다. 가장 두드러진 게 근본주의의 강점이라 할 수 있는 열성적인 신앙을 감정적으로 치부하고, 개인전도 중심의 활동을 폄하한 것이죠. 또한 주지주의와 계몽주의로 인해 경건주의가 나타나게 되었음을 새삼 일깨웁니다.
김길구 그렇기에 저자는 ‘제2의 소박함’을 강조합니다. 기왕에 드러난 단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을 견뎌낸 믿음을 굳건히 지켜나가야 한다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두 가지 언급합니다. 인내와 겸손입니다. 독선주의를 떨치고 신실한 행동을 요구하는 제자도로 나가기 위한 덕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김현호 한마디로 하면 ‘거룩한 현세지향성’이죠. 내세에 대한 관심 못지않게 현세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되, 근본주의의 가장 큰 덕목인 거룩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지적인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교회 현실에서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수성 그동안 우리가 몇 차례 거론했던 지역을 섬기는 교회의 모습이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김길구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내용상 우리 한국 교회가 앞으로 어떻게 해야 존재의의를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한 책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900쪽이 넘는 방대한 책이기는 하지만, 철학자인 김용규의 《신》(Ivp, 2018)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리: 김수성]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독교 교양 읽기 39]근본주의의 소중한 유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