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홍석진목사 copy.jpg
 우루과이 남서부에 헤랄드 아코스타(Gerald Acosta) 씨는 정초부터 운이 나빴습니다. 5일 아침에 출근했다가 신분증 기간 만료로 작업장에는 들어가 보지도 못하고 걸어서 집으로 돌아가야 했기 때문입니다. 화도 나고 걱정도 되고 게다가 날씨까지 왜 이렇게 찌는지, 할 수 없이 엄지손가락을 세워보았지만 야속하게도 아무도 차를 태워주지 않았습니다. 바로 그 때, 낡은 관용차가 한 대 섰습니다. 고맙다고 인사하며 비어 있는 뒷자석에 탄 아코스타 씨는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조수석에 유명한 루시아 상원의원이, 그리고 운전석에는 그녀의 남편 호세 무히카(Jose Mujica) 씨가 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우루과이 대통령이었습니다.
  올 해 2월 말로 임기를 마친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으로 불립니다. 독재에 저항하다 14년을 감옥에 갇혀 있기도 했던 그는 대통령 취임 직후 관저(官邸)를 노숙인 쉼터로 내놓고 해안에 있는 대통령 별장도 팔아버렸습니다. 그 날 아코스타 씨를 태워주었던 관용차 역시 20년 째 몰고 있는 자기소유 차량이었습니다. 오랫동안 거주하던 수도 외곽 낡은 주택에서 손수 운전하며 출퇴근했던 이 소박한 대통령은 월급의 2/3 이상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면서, 재임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 5%, 국민소득 16,000 달러에 국가 부패지수 21위 등 모두 남미 최고를 기록하며 취임 시보다 훨씬 높은 지지율과 국민들의 존경 속에서 퇴임했습니다.
  같은 달 중순, 미국의 민간 우주항공업체 스페이스X와 해양대기국(NOAA)은 디스커버 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 여타 위성과 달리 지구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인 160만 km 지점에서 ‘블루 마블(Blue Marble)’이라 불리는 지구 전체의 사진을 찍어 전송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위성에는 ‘고어의 위성(Gore Sat)’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1998년 미국 부통령이었던 앨 고어(Al Gore)가 재임 당시 “아름다운 지구 전체의 모습을 담아 24시간 내내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면 환경의 소중함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작했던 프로젝트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계획은 당시에도 수익성 문제로 인기가 없었고, 이후 부시(G. W. Busch) 정부에서는 예산 낭비라는 이유로 아예 백지화되기에 이르렀습니다. 17년 만에 쏘아 올린 이 위성은 인기나 당리당략을 초월한 한 정치인의 혜안(慧眼)이 결국 옳았음을 증거합니다.
  같은 시기 대한민국은 총리후보자 검증 문제로 온 사회가 몸살을 앓았습니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지 어언 15년째, 그러나 공직후보자들의 수준은 발전은커녕 퇴보한 것이 아닌가 우려스러울 정도입니다. 도입 초기 후보자의 자질을 검증하는 중요한 시금석이었던 ‘위장전입’은 정치적 면죄부를 받은 지 오래입니다. 부동산투기나 병역기피는 진부적인 정치적 상투어 정도로 희석되었습니다. 대의(代議)의 주체인 국민들의 의사보다 당론(黨論)이 우선하는 현상도 한결같습니다. 아, 우리는 언제쯤 “삶에는 가격이 없다”며 검소한 삶을 실천하는 지도자를 경험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언제쯤이면 개인적인 영욕(榮辱)이나 당리당략(黨利黨略)이 아니라 국가의 대계(大計)와 민족의 미래(未來)와 자유와 정의와 환경과 같은 지순(至純)한 가치들을 위해 매진하는 지도자를 목격할 수 있겠습니까?
  예수님은 동전 한 닢도(마 17:27) 옷 한 벌도(요 19:23) 소유하지 않은 담백함과, 하나님 나라의 큰 뜻을 위해 희생하는 참지도자의 전형(典型)을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무릇 그리스도인이라면 이러한 주님의 모습을 사모하며 따르는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한 사회의 지도자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이 아니라 진정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주님의 모습을 본받아 산다면 그 파급력이 얼마나 크겠습니까? 바울이 자비량으로 선교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 까닭은 오직 복음을 위해서였지만(행 20:34; 고전 9:12; 살후 3:8), 결국 소박하면서 대의를 위해 사는 그 모습이 아시아와 유럽을 바꾸고 세상을 뒤집어 놓았습니다. 이 땅에 사는 예수님 제자들 가운데 그런 지도자 하나쯤을 기대하는 것은 망상입니까 아니면 소망입니까?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지도자론 소고(小考)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