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7(수)
 

탁지일 교수.jpg

 

 두 아들을 모두 군대에 보낸 후 방문했던 부산 대연동 유엔기념공원에서 느꼈던 애잔함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있다. 2,300여 기에 이르는 10대 말과 20대 초반의 참전 군인들이 잠들어 있는 묘역을 걸으며, 군복무 중인 아들들 생각에 마음이 울컥했었다.

 누군가의 아들이고 형제였던 (어린) 젊은이들 절대다수는 미국(39명)과 영연방 출신(캐나다 380명, 호주 281명, 뉴질랜드 32명) 기독청년들이었다. 이들 젊은 기독참전군들이 태평양 건너편 그들의 고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곳 부산에서 오늘 영면하고 있다.

 수년 전 미국과 캐나다 교회 사료관들을 방문해 조사한 적이 있었다. 유엔기념공원을 알게 된 후, 이들 참전 군인들의 이야기를 역사 속으로 소환하고 싶은 열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기대와는 전혀 다르게, 반공산주의와 전시전후 구호사업에 관한 자료들은 다수를 발견했지만, 이들 젊은이들과 가족들의 아픔과 위로의 흔적들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아직까지도 그들 조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기독교 역사 기술 속에서도 이들의 존재는 사각지대에 남겨져 있다.

 6.25전쟁을 70주년을 기념하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6.25전쟁 70주년을 의미 있게 기념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왜냐하면 전쟁을 경험한 세대의 증언을 기록할 수 있는 거의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이다. 6.25전쟁 80주년이 됐을 때, 과연 몇 분이 우리 곁에 남아 생생한 전쟁의 증언과 교훈을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을까?

 코로나19로 혼란스럽던 올해 초, 교회사를 전공하는 제자들과 함께 『6.25전쟁과 한국교회』라는 책을 만들었다. 6.25전쟁 70주년을 맞는 2020년, 피난지 부산에서 공존했던 지난날 한국교회의 모습을 통해, 코로나19와의 또 다른 전쟁을 치루고 있는 오늘날 교회의 진로를 모색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책 작업을 마친 후 마침내 발견한 키워드는 ‘하나님의 은혜’였다.

 전쟁의 공포와 소망이 공존하는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피난지 부산에 모인 신앙인들에게 하루하루의 고달픈 삶은 은혜였다. 전쟁이 곧 끝나리라는 소망, 떠나온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소망, 헤어진 사랑하는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소망은 하나님 은혜의 선물이었다.

 피난민들이 모여 살았던 부산 도심에는 6.25전쟁의 흔적들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있다. 피난민들의 지친 삶들이 머물렀던 산북도로, 피난민들의 만남과 소통의 장소였던 40계단, 피난의 일상들이 고스란히 전시된 40계단문화관이 있고, 전쟁 시기에 세워진 교회들에는 고향을 떠나 낯선 피난지에 정착한 피난민들과 그 후손들의 이야기가 오늘도 남아 전해지고 있다.

 오늘날 부산은 기독교 인구가 가장 적은 한반도 동남단 땅 끝 불교의 땅으로 일컬어지지만, 6.25전쟁의 절박한 상황에서 복음이 소중히 보호되던 은혜의 땅이었다. 피난지 부산에게 6.25전쟁은 부산경남지역 교회 성장의 전환점이었다. 아픈 마음으로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기독 피난민들, 그리고 그 아픔을 품은 부산사람들이 함께 공존하며 성도의 교제를 나누었던 피난 교회들이, 오늘 부산지역 기독교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피난지 부산에서 바라본 한국교회의 모습은 ‘은혜 아니면’ 설명할 수 없다. ‘은혜 아니면’ 전쟁으로 무너지고 일그러진 세상을, 선한 능력으로 새롭게 만들 수 없었다. 6.25전쟁 70주년을 맞는 오늘, 코로나19로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는 오늘, ‘은혜 아니면’ 설 수조차 없는 부족한 우리들이, ‘은혜 아니면’ 살아낼 수 없었던 70년 전 6.25전쟁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소망과 용기를 얻어야 한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탁지일 교수] 6.25전쟁 70주년의 아쉬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