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2(금)
 
김철봉목사 copy.jpg
  잠언 27:17에 이런 말씀이 있다.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처럼 사람이 자기 친구의 얼굴을 빛나게 하느니라”
탈진 상태에 빠져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 가장 큰 힘이 되어 줄 수 있는 사람을 누구일까? 부모? 아내? 자녀? 형제? 스승? 상담사? 의사? ...
물론 다들 소중한 사람들이고 나름대로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분들이다.
그러나 성경이 확증하고 있는 바처럼 인간관계에서 〈친구〉만큼 좋은 것은 없다.
옛 어른들 말에 「부모 팔아서 친구를 산다」고 했다. 사람이 태어나서 일정하게 성장하고 나면 그때부터는 부모님보다도 ‘친구’가 더 필요하다. 친구란 “가장 가까운 사이 / 어떤 문제라도 이야기 할 수 있는 사이 / 어떤 어려운 문제(부탁)도 들어주고 도와 줄 수 있는 사이 /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이 / 전쟁터에서 친구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서라면 나의 목숨을 던질 수 있는 사이 / 외롭고 힘들 때 만나고 싶고 전화하고 싶고 내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이 / 내게 있는 좋은 것을 함께 나누고 기꺼이 주고 싶은 사이 ... ” 이다.
놀랍게도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을 ‘나의 벗 나의 친구’ 라고 말씀하신다(사41:8, 대하 20:7, 약2:23, 창18:17). 그러니 어떻게 보면 하나님께서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고 싶은 사람(친구)이 필요하신 것이다.
이 얼마나 놀라우면서도 기분 좋은 현상인가!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두고 ‘나의 벗 나의 친구’ 라고 하시니 지켜보는 우리들의 입에서 미소가 흘러나온다. 아브라함의 영적인 후손-믿음의 후손-들이 바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이다(롬4:11,12).
그러므로 우리 그리스도인들도 아브라함처럼 하나님을 순전하게 바로 믿으면 하나님께서 “그래, 너희들도 나의 〈벗〉 이다” 라고 말씀해 주실 가능성이 아주 크다.
신약에서 보면 예수님께서도 〈친구〉를 좋아하셨다. 예수님은 자신이 〈선생〉이시고 제자들은 〈학생〉이라는 도식으로 여기지 않고 〈친구사이〉로 지내고 싶어 하셨다. 그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이름은 내 기쁨이 너희 안에 있어 너희 기쁨을 충만하게 하려 함이라 / 내 계명은 곧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하는 이것이니라 /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 / 너희는 내가 명하는 대로 행하면 곧 나의 친구라 / 이제부터는 너희를 종이라 하지 아니하리니 종은 주인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라 너희를 친구라 하였노니 내가 내 아버지께 들은 것을 다 너희에게 알게 하였음이라 ” (요 15:11~15)
그러므로 예수님은 제자들을 끝까지 사랑하시고(요13:1), 보호하시고(요14:18), 모든 허물을 덮어 주셨다(눅22:32, 요20:19, 21:15).
그리고 여전히 사명을 맡기셨다(요21:15, 행1:8).
예수님은 자기 제자들의 연약함을 잘 아시기 때문에 성부께 제자들을 이 험난한 땅에서 보전(保全)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셨다(요17:15). 그리고 성령께도 제자들을 잘 도와주고 지켜 줄 것을 당부 하셨다(요16:7). 그리고 자기 자신도 친히 제자들을 세상 끝날까지 함께 해 주겠노라고 약속하셨다(마28:20).
〈친구〉란 이러한 것이다. 끝까지 함께해주고 할 수 있는 바는 조금도 아끼지 않고 다 동원하여 사랑하고 지켜주고 도와주는 사이이다. 이 모든 것을 조금도 귀찮게 여기거나 억지로가 아니고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베풀어 준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목회자 칼럼] 탈진과 회복 (15)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