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전국적으로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였고, 지금 세계에서도 쓰레기분리를 잘 하는 나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독일은 오래전부터 시작해서 1993년에 내가 갔을 때는 이미 생활화되어 있었다. 동네 곳곳에 재활용 쓰레기 수거함들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도 특이한 것은 빈병수거함이 그 재료의 차이에 따라 흰색, 녹색, 갈색 병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이다.
독일의 환경정책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을 늘리는 것이고, 국민들 역시 그런 것이 생활화 되어 있다. 가급적 1회용 용기를 줄이기 위해 음료수 용기에 ‘저당’이라는 뜻의 ‘판트’(Pfand) 제도를 도입했다. 가령 음료를 담은 병, 플라스틱, 또는 종이팩의 경우 한번 쓰고 재활용수거함에 버리는 일회용이 있는가하면, 판트용으로 여러 회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런 음료수에는 판트 비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다 사용한 뒤 가게로 가져가면, 그 판트 비용을 돌려받게 된다. 병은 모르겠는데, 주스를 담은 종이팩을 재사용하는 것이 특이하게 생각되었다.
보통 병은 50회 정도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은 잘 세척하면 25회 정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병이 무거우므로 차량운반 중 CO2가 더 많이 배출되는 것을 이유로 플라스틱이 더 환경적이라고 계산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쨌든 내가 있을 때에 비해 지금 이 판트제도는 훨씬 더 광범위해지고 일상화가 되어서 이제 마트에서 파는 음료용기 중 일회용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아울러 독일은 벼룩시장이 일상의 문화처럼 되어있다. 지역마다 주간으로 나오는 벼룩신문은 값이 비싼 편인데도 많은 독자들을 갖고 있다. 이 안의 정보를 갖고 직접 연락해서 서로 만나 물건을 사고파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벼룩시장이 온라인상에서 점점 발달해 가고 있다.
어디서나 그렇지만, 여기서도 정기적으로 열리는 큰 벼룩시장은 상업화되어 있어 새 물건을 가져다 파는 상인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동네에서 주말마다 열리는 벼룩시장은 주로 동네 사람들이 집에서 안 쓰는 물건을 가지고 나와서 사고판다. 가끔 부모가 지켜보는 가운데 어린 애들이 자기가 쓰던 물건을 직접 흥정하는 것을 보곤 했다. 환경과 경제를 교육하는 장이 되는 것이다.
독일에서는 이렇게 벼룩시장이 발달하다보니 남이 입던 옷을 입고, 쓰던 물건을 쓰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긴다. 심지어 아이 물건도 새로 사지 않고 남이 쓰던 것을 잘 세척해서 사용한다. 절약이라는 관점 이전에,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을 아낀다는 점에서 본받을 좋은 문화라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