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5(화)
 

박미화 대표.jpg

 

창세기 1장 26절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들로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가축과 온 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말씀은 우리의 존재목적을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자로 설계되었다. 하나님의 형상자로 살지 못하면 우리는 망가지는 인생이 된다. 하나님의 형상자로 사는 것은 어떤 삶일까? 하나님의 형상자는 하나님을 드러내는 삶을 사는 사람이다. 어떻게 하나님을 드러낼 수 있을까? 하나님처럼 말하고, 하나님 닮도록 흉내 내면 하나님을 드러낼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하나님을 담아야, 하나님을 드러낼 수 있다

하나님은 우리를 하나님 담는 그릇으로 만드셨다. 우리는 내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비워내고, 하나님으로 채워야 하는 존재이다. 하나님의 생명을 담고, 하나님의 사랑을 담아야 한다. 하나님의 생명을 담는 부모는 자녀를 살리고, 이웃을 살리는 부모가 된다. 하나님의 사랑을 담는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며, 이웃을 사랑하는 부모가 된다. 반대로 하나님의 생명을 담지 않는 부모는 죽이는 말과 행동을 서슴없이 하며, 이웃을 아프게 하는 부모가 된다. 하나님의 사랑을 담지 않는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지 못하며, 이웃을 품지 못하는 부모가 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어떻게 담을 수 있을까? 요한복음 1장 14절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의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말씀은 우리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어떻게 담아야 하는지 해답을 가르쳐준다. 하나님을 담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담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문자가 아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내 안에 가득 담는 순간, 내 안에 하나님의 생명과 사랑이 가득하게 된다. 하나님과 말씀을 담는 하루는 하나님을 담는 하루가 된다. 그 하루는 가족을 살리는 하루, 가족을 사랑으로 품을 수 있는 하루가 된다. 그 하루는 이웃을 살리는 하루, 이웃을 사랑을 품을 수 있는 하루가 된다.

 

크기변환_KakaoTalk_20220106_031746034.jpg

 

향기나무 우리집 성경놀이터의 1월 주제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나를 만드셨어!”이다. 온 가족이 모여 앉아 찰흙으로 각자의 그릇을 만들어본다. 하나의 덩어리에 무언가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되게 하려면, 엄지손가락으로 찰흙의 도톰한 곳을 힘껏 꾹꾹 눌러서 옴폭하게 만들어야 한다. “비우자! 비우자! 나를 비우자!” 가족들은 이렇게 말하며, 찰흙으로 그릇을 만든다. 속에 가득 찬 것을 꾹꾹 누른 후 이렇게 외친다. “하나님을 담자! 하나님을 담자!” 가족들은 그릇의 옴폭한 곳에 요한복음 3장 16절 말씀이 기록된 사랑 스티커와 요한일서 5장 12절 말씀이 기록된 생명 스티커를 가득 붙여 담는다. 그리고 가족들은 나와 서로의 신체에 “하나님의 생명이 쏙, 하나님의 사랑이 쏙!”이라고 말하며, 하나님의 사랑과 생명 스티커를 붙여준다. 지치고 힘든 우리 아빠에게도 “하나님의 생명이 쏙, 하나님의 사랑이 쏙!”, 우울한 우리 엄마에게도 “하나님의 생명이 쏙, 하나님의 사랑이 쏙!”, 학업 스트레스로 늘 긴장하는 첫째에게도 “하나님의 생명이 쏙, 하나님의 사랑이 쏙!”이라고 힘차게 외친다.

하나님의 생명과 사랑은 우리를 형통하게 하는 형통버튼이다. 가족들이 서로의 몸에 붙어있는 형통버튼 스티커를 누르며 박장대소하며 웃어본다. 하나님의 생명과 사랑이 가득하면, 이렇게 모든 자극에 “하하하”로 화답할 수 있다. 어떠한 환경에도 “하하하”로 감사할 수 있다. 2022년을 시작하는 지금, 온 가족이 마주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생명의 형통버튼으로 가득 채워지는 뜻 깊은 시간을 꼭 마련해보기를 바란다.

 

크기변환_KakaoTalk_20220106_031648553.jpg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신앙교육나침반] 2022년 온가족 형통공식 “하나님 + 가정 = 하나님 담는 가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