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이상규 교수.jpg

6.25 전쟁기 부산에서의 신학교육은 어떻했을까? 부산에는 1946년 9월 20일 개교한 고려신학교가 있었다. 고려신학교는 부산진 좌천동 일신여학교 교사에서 시작되었으나 약 5개월 후인 1947년 3월 5일은 한상동 목사가 시무하던 초량교회 삼일유치원으로 이전하였다. 한상동 목사는 고려신학교를 설립하기 두 달 전인 1946년 7월 30일 초량교회에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하여 있었는데, 해방 후 다시 선교지로 돌아온 호주선교부가 일신여학교 교실 사용에 대하여 의의를 제기하였다. 즉 한상동 목사와 호주선교부 대표 안다손 (George Anderson) 선교사간에 문제가 있어 한상동 목사는 일신여학교 건물에서 나와야 했고, 마땅한 교사가 없어 초량교회 유치원으로 이전한 것이다. 그로부터 약 40일 후인 4월 19일에는 부산시 광복동 12가 7번지 적산 건물로 이전하였다. 이곳이 지금의 광복동에서 용두산공원(당시 우남공원)으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주변이었다. 따라서 전쟁기 고려신학교는 광복동 1가 7번지에 위치하고 있었고, 학생 수는 70여명에 달했다. 그렇다면 다른 신학교육기관은 없었을까? 전쟁기 서울의 대학이 부산에서 수업하거나 부산 분교를 운영하였고, 1951년 5월 4일 ‘대학교육에 관한 전시 특별 조치법’을 공포하여 전시연합대학을 운영하게 했다. 이런 경우는 세계교육사상 유례가 없는 전시 하에서의 교육 제도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서울에 있는 신학교는 어떻게 신학교육을 계속했을까?

 

 서울에서 부산으로 피난 오게 되자 부산에서 임시교사를 설치하고 신학교육을 시행하였는데, 한신대학의 경우도 부산에서 전시학교를 운영하였다. 1940년 개교한 조선신학교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1951년 4월 28일에는 한국신학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대학으로 인가를 받게 된다. 이 조선 신학교는 전쟁이 발발하아 임시 휴교하였으나, 1951년 3월 부산에서 다시 개강하게 된다. 이 일 주도한 이가 정대위 교수였다. 당시 학교 관계자들은 부산이나 제주도로 피난 중이었는데, 그는 항서교회 종탑 방에 임시로 거주하고 있었다. 후에 경동교회 담임목사가 되는 강원룡 목사도 정대위 교수와 같이 항서교회 종탑방에서 살고 있었다. 이들의 노력으로 남부민동의 항남교회에서 신학교육을 재개하게 된 것이다. 당시 항남교회 권남선 담임목사는 일본 아오야먀(靑山學院) 출신으로 김재준 보다 2년 선배였다. 이런 관계로 항남교회 옆의 공한지를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강원룡의 회고록에 의하면 거제도에서 피난하고 있던 김재준 목사를 찾아가 부산으로 돌아와 다시 신학교를 시작하자고 했을 때 김재준은 완강하게 거절했다고 한다. 김재준은 조선신학교 설립자 중의 한사람이었고 조선신학교를 많이 후원했던 진정률 장로가 거제도에 살고 있었기에 그곳에서 피난하고 있었다. 캐나다에서 유학했던 정대위 교수는 영어가 능통했고 한국전에 참가한 캐나다 군부대로 찾아가 그들이 쓰고 버리는 목재 탄환상자들을 대량으로 얻어와 임시교사를 짓고 사택까지 준비했다고 한다. 그리고 다시 김재준 목사를 찾아가 신학교육을 위해 부산으로 돌아와 달라고 요청하엿고, 이렇게 하여 교수들이 모이고 신학교육을 재개하게 되었다고 한다. 정대위 교수는 학장으로, 최윤관은 부산의 상이군인정신요양원 원장으로 일하면서 교수하고 있었고, 김정준은 교수로 동참했으나 1951년 8월에는 캐나다 토론토의 임마누엘신학교로 유학을 떠났고, 1952년 3월에는 서남동, 이장식 교수와 전경연 박사가 교수로 취임하였다. 강사로는 안희국, 강원룡, 김종대, 서창제, 지동식, 최거덕, 한철하 등이 강사였다.

 

 피난지에서 첫 졸업식은 1951년 7월 18일 거행된 제10회 졸업식이었다. 학부 15명과 전문부 32명을 배출하였다. 학생수가 늘어나자 미군과 교섭하여 목재와 나무상자를 얻어와 강당 겸 강의실도 세우고 신학교육을 시행했는데, 이곳이 남부민동 22번지였다. 1952년 4월 26일에는 함태영 목사가 학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대한민국 심계원장 출신인데, 저명한 법률가였다. 피난생활을 끝내고 서울 동자동 켐퍼스로 돌아간 때는 1953년 8월이었다. 그래서 한국신학대학은 2년 5개월, 곧 5학기 동안 부산에서 신학교육을 시행하였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기독교이야기] 전쟁기 부산에서의 신학교육1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