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홍석진 목사.jpg
  작년에 터키선교여행을 갔을 때 이스탄불에서 우리는 말로만 듣던 시리아 사람들이 길거리 골목에서 “우리는 시리아 난민입니다. 도와주세요.(We are Syrian refugee. Please help us.)”라고 적힌 작은 팻말을 들고 구걸하는 장면을 곳곳에서 보았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의하면 수년 째 이어지는 내전으로 1,000만 명 이상이 난민으로 전락했고 이 중 400만 명 이상이 국경을 넘었다고 합니다. 문제는 더 이상 이들을 받아줄 나라가 없다는데 있습니다.
  지난 2일 터키 보드룸(Bodrum) 해안에서 터키 민영통신 사진기자 닐류페르 데미르(Nilufer Demir, 29세 여성)가 찍은 사진 한 장이 지구촌 사람들을 경악과 슬픔으로 몰아넣었습니다. 파란책 청바지와 붉은색 남방을 입고 모래사장에 얼굴을 반쯤 묻은 채 숨진 채로 발견된 3살짜리 아기 아일란 쿠르디(Aylan Kurdi) 때문입니다. 5살 형과 함께 아빠를 따라 월경(越境)하는 배를 탔다가 보트가 뒤집히는 바람에 숨진 꼬마 난민입니다. 100m 떨어진 곳에서 형 갈립(Galib)과 엄마도 함께 숨진 채로 발견되었습니다. 인근 국가들은 물론 이슬람 대국인 터키조차 이들을 외면했기에 작은 배에 의지하여 목숨을 걸고 지중해를 건너 피난처를 찾아 출아시아(exodus from Asia)한 길이었습니다. 외신은 이 사진에 “파도에 쓸려간 인류애(Humanity washed ashore)”라는 제목을 붙였습니다. 사진을 찍은 데미르의 생각도 같았습니다. “아일란이 핏기 없는 얼굴을 모래에 댄 채 엎드려 있었다. 충격을 받고 슬펐지만 이 비극을 알리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의 비극이 오늘부터 바뀌기를 바란다.”
  아일란의 죽음을 애도하는 세계의 반응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이집트의 한 부호는 사재를 털어 그리스의 섬 하나를 사서 난민들을 수용하겠다는 호기로운 발언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스티브 잡스(Steve Jobs)도 시리아계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들 난민에 대해 공공연하게 반대 의사를 피력하던 영국의 캐머런 총리는 여론에 밀려 시리아 난민 15,000명을 받아들일 뜻을 비췄습니다. 독일에 도착한 난민들을 환영하는 인파가 몰렸는가 하면 지난 7월 독일 방송에 출연해 메르켈 총리에게 직접 망명을 호소했다가 거절당해 울음을 터뜨렸던 팔레스타인 난민 소녀 림(14세)도 최근 거주허가증을 받았다고 합니다. 아일린의 주검이 발견되고 며칠 후 프란치스코 교황은 유럽의 모든 가톨릭 교구에 난민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것을 주문했습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까지 시리아 난민 200명 수용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시리아 난민 수가 급증하면서 한국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입었습니다. 2015년 1월까지 650여 명의 시리아 난민이 한국에서 난민 신청을 했고, 이 중 500여 명이 인도적 체류 비자를 받았습니다. 이번 아일란 사건으로 시리아 난민들의 망명 신청은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이 사태는 단순히 인도주의적 차원으로만 해결될 수 있는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사무엘 헌팅턴의 말처럼 한국도 바야흐로 문명의 충돌 지점이 되었습니다. 시리아를 비롯한 이슬람 세력의 한국 진출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다는 뜻입니다. 왜 독일이나 영국이 중동 지방의 난민들에 대해 그 동안 난색을 표해 왔겠습니까? 무슬림의 확장 속도는 무섭습니다. 난민으로 받아들인 무슬림들이 개종할 가능성도 희박합니다. 예수님은 원수까지도 사랑하라 하셨습니다. 종교를 명분으로 어찌 아일란 같은 아이들을 외면할 수 있겠습니까? 그것은 예수님도 원하는 바가 아닐 것입니다. 그러니 신중하고 지혜로운 처사가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이 일을 놓고 집중적으로 기도할 수 있는 한국교회와 성도들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아일란 쿠르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