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1(금)
 


서임중 목사.jpg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은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을 닮은 존재로 창조된 피조물이라는 것이다. 무한한 가능성이 있고 무진장의 가치가 있으며 유일한 독특성이 있다. 이것을 깨닫게 되면 무엇을 하든 좌절하지 않고 하고자 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면접시험 때에 까만 점 하나를 찍은 백지 한 장을 벽에 붙여 놓고 무엇이 보이냐고 시험관이 묻는다. 그 때 대부분의 응시자는 까만 점이 보인다고 답을 한다. 그러나 몇 사람은 백지가 보인다고 답을 하였다. 면접관이 말하기를 “여러분은 왜 이 작은 점 하나는 보면서 이 큰 백지는 보지 못하는가?”라고 교훈하였다.

 

인생의 싸움에서 패배하는 사람은 흔히 자신의 과거를 본다. 줄곧 남만 따라 다니는 사람은 늘 사방을 두리번거리고, 무슨 일을 하다가 중도 하차하는 사람은 언제나 자신의 눈 한 치 앞만 본다. 그런가하면 자신감이 없는 사람은 항상 모든 사물을 대강 보고, 좌절과 절망을 잘하는 사람은 상황을 깊이 보려고 하지 않는다. 보는 것도 훈련이다. “무엇을 보느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물으셨던 질문을 새삼 되새겨본다.

 

영어 속담에 ‘The parade passes and dogs bark(행렬은 지나가고 개들은 짓는다)’는 말이 있다. 일하는 사람과 비평하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뜻도 되고, 몇몇 말꾼들이 시끄럽게 해도 역사의 행진은 멈추지 않는다는 뜻이 담긴 속담이기도하다. 역사의 키를 잡고 이끌어 가는 사람은 떠버리가 아니라 자기의 길을 조용히 걸어가는 사람이다. 신학교수 ‘버클러’ 박사가 학교에서 재직할 때 시각 장애를 가진 학생이 헬라어 최고점을 받았다고 한다. 그에게 최고점을 받을 수 있었던 비결을 묻자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빌립보서4:13).”고 대답을 했다.

 

나는 스무 살에 예수님을 영접했고, 서른이 넘어 야간 대학을 다녔으며, 나이 사십이 되어 목사 안수를 받았다. 많은 동역자들이 “어떻게 그렇게 늦게 신학을 하였는데 목회 성공을 하게 되었느냐”고 묻곤 한다. 그때마다 나는 긍정적 삶의 교훈을 이야기한다. ‘목회는 성공’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지만 10년 늦게 출발하면서 오늘에 이르도록 행복한 목회를 할 수 있었던 힘은 시편 18편 1절이었다. “나의 힘이 되신 여호와여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 하나님이 나의 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하나님이 나와 함께 하신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나는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존귀한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러기에 오늘에 이르도록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아픔과 고달픔이 밀려올 때도 원망, 불평, 비판, 정죄 대신 감사로 달음질했다. 신학교 시절 먹지 못하고 병들어 쓰러질 때 나는 나의 존재에 대하여 회의(懷疑)를 느꼈었다. 내가 벌레만도 못한 존재라는 사실 앞에 통곡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런 절박한 상황에도 어둠을 밀어내는 빛의 말씀이 들려오면 나는 다시 내 존재에 대한 기쁨에 몸을 떨며 감격했다. “너는 두려워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이사야43:1).” 내가 하나님의 것이 된 것, 나를 구속하신 하나님이 나를 지명하여 불렀다는 사실, 그 앞에서 나는 무가치한 존재가 아님을 깨달았다. 나는 천하를 주고도 바꿀 수 없는 하나님의 자녀 됨을 확신하면서 삶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병든 몸은 강건하게 되었고 가난한 삶은 마음의 부요에서부터 삶의 부요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 누가 자신의 눈을 1억 원에 팔며, 그 누가 자신의 심장을 10억에 팔겠는가. 누가 자신의 사지백체를 나누어 수 천 만원, 수 억 원에 팔겠는가? 역설하면 이미 내 몸은 가치로 환산할 수 없는 무진장의 가치 자체라는 말이다. 게다가 구원받은 하나님의 자녀이기에 천하를 주고도 바꿀 수 없다는 주님의 말씀이 있지 않은가. 이를 묵상하면 오늘도 내일도 날마다 감사와 기쁨으로 살아갈 수 있다.

 

나의 칼럼 가운데 인간의 성품론이 있다. 보편적으로 인간의 성품을 도형화 하면 △ □ ○ 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형의 사람은 성품이 급하면서 솔직하다. □ 형의 성품은 느긋하면서 미련하며, ○형의 성품은 온화하고 유약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면서 선호하는 성품은 물론 ○형 성품일 것이다. 어느 목회자가 △성품의 교인에게 너무 시달려 “왜 하나님은 예수 믿는 사람의 성품을 하나같이 ○성품으로 변화시키지 않으실까?”라고 탄식을 했다. 그러나 놀라운 것은 이 △ □ ○ 세 성품을 하나님께서 만드셨다는 사실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모든 성품이 어느 하나 좋고 나쁠 수 없는 하나같이 하나님의 걸작품이라는 것이다. 생각 해 보라. 교인들의 성품이 모두 △형이면 날마다 자기주장이 앞서 시끄러울 것이다. 모두 □형이라면? 그러면 답답해서 지쳐 나가떨어질 것이다. 만약 모두가 ○형이라면 추진력이 없어 어느 것도 진행되기 어려울 것이다. 어떤 일이 전개될 때 △성품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밀어붙이면 □성품은 다시 한 번 생각하는 느긋함으로 일의 내용을 검토할 수 있고, ○성품은 순종형이라 일을 시작하면 잘 협력하여 무슨 일이든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이렇듯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것은 선하고 아름다워 버릴 것이 없다. 사람은 누구나 하나님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것을 깨달을 때 인간관계는 아름답게 연결되어진다. 거기서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삶인 이해와 용서, 관용과 사랑이 실천될 수 있다. 내가 잘났든 못났든, 많이 배웠든 배우지 못했든, 지식이 뛰어나든 모자라든, 돈이 많든 적든 그런 것은 문제가 아니다. 나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하나님이 만드신 목적 있는 존재다. 그러므로 감사할 것밖에 없다.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며 창조 섭리에 순복하는 삶, 그것이 아름다운 그리스도인의 삶이다. 그것이 사람이 사람답다는 것이다. 사람이 사람답지 못하다는 말은 무엇이겠는가? 바로 짐승과 다를 바 없다는 말씀이다.

“존귀에 처하나 깨닫지 못하는 사람은 멸망하는 짐승과 같으니라(시편49:20).”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임중칼럼] 사람이 사람답다는 것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