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1] 벗어 날 수 없는 스마트 문화
초등학교 졸업생 80명 중 장래 희망이 프로게이머가 꿈인 학생이 10명이 넘었다. 쉬는 시간마다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놀지 않고 삼삼오오 둘러 앉아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내 자녀가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다면, 또한 능력이 된다면 아빠는 목사이지만 시킬 마음이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직업으로 추천 할 수 있을 것인가?
해마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늘어나는 학생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최근 해마다 약 2%이상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단다. 스마트폰이 1992년 IBM사가 설계되고 안드로이드가 2007년부터 보급된 지 약 9년 만에 이러한 결과를 낳고 있다.
스마트폰을 안 줄 수도 없는 사회구조, 상황은 우리 자녀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이러한 문화가 쓰나미와 같이 몰려온 중독 문화로 정의 내리고 있고, 중독 문화는 우리 자녀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폰 문화는 게임, SNS, ... 기타등등 우리 삶에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자녀들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자녀들의 교육이전에 부모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여러 가지 중독문화를 야기시키고 있고 중독되지 않으면 소이 대박나지 않는 상업적 구조로 되어 있다. 앞으로 계속해서 상황2, 상황3 등의 예로 독자들에게 인식 시켜 갈 것이다. 세상을 보는 중독문화(죄문화)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을 때 각각의 성도들도 대처 능력이 생겨나리라 본다.
초등학교 졸업생 80명 중 장래 희망이 프로게이머가 꿈인 학생이 10명이 넘었다. 쉬는 시간마다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놀지 않고 삼삼오오 둘러 앉아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내 자녀가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다면, 또한 능력이 된다면 아빠는 목사이지만 시킬 마음이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직업으로 추천 할 수 있을 것인가?
해마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늘어나는 학생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최근 해마다 약 2%이상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단다. 스마트폰이 1992년 IBM사가 설계되고 안드로이드가 2007년부터 보급된 지 약 9년 만에 이러한 결과를 낳고 있다.
스마트폰을 안 줄 수도 없는 사회구조, 상황은 우리 자녀들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이러한 문화가 쓰나미와 같이 몰려온 중독 문화로 정의 내리고 있고, 중독 문화는 우리 자녀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폰 문화는 게임, SNS, ... 기타등등 우리 삶에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자녀들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자녀들의 교육이전에 부모 교육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여러 가지 중독문화를 야기시키고 있고 중독되지 않으면 소이 대박나지 않는 상업적 구조로 되어 있다. 앞으로 계속해서 상황2, 상황3 등의 예로 독자들에게 인식 시켜 갈 것이다. 세상을 보는 중독문화(죄문화)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을 때 각각의 성도들도 대처 능력이 생겨나리라 본다.
에베소서 2장2절
그 때에 너희는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그 때에 너희는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운데서 역사하는 영이라
[조언1] 하나님이 주신 공동체, 가정을 사수하라.
본인은 중독문화를 죄문화로 정의 내리곤 한다. 어떤 한 가지에 중독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공동체, 예를 들어, 가족에 미치는 악영향은 여러 가지가 있다. 특별히 갈등의 문제다. 자신의 쾌락을 위해 가족 구성원들의 희생을 요구하면서 정작 본인은 희생하지 않는 개인주의는 참으로 위험하다.
인위적으로 막을 수 없을 만큼 쓰나미처럼 안방 깊숙이 들어와 있는 스마트 문화는 현실에 있어서 중독 문제로 야기시키고 있지만 현실적 대안이 없다. 하지마라. 주지마라. 과연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또한 이러한 문제를 교회 교역자나 교사에게 위임하지 말라. 부모가 먼저 문제점을 인식해야 내 아이를 지킬 수 있다.
첫째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해야한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야기 하겠지만 본인은 다섯 아이의 아버지로써 현실적 조언을 한다. 그 중에 감사한 것은 목사이기에 예수님 외에는 내 아이를 지킬 다른 방도를 찾지 못했다.
둘째는 가정의 영적질서를 바로 잡아야 한다. 부부가 서로 자녀 교육의 의견 차이를 나타내면 자녀들은 더욱 심각해지고, 중독되기 싶다. 부부 서로가 가정의 영적 질서를 세우고 자녀들 앞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한 갈등을 보여서는 안 된다. 또한 가정의 머리인 남편을 영적 아비로 세워야 할 것이다.
셋째는 일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책임감 있는 삶을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모가 되라. 예배를 우선시 하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맡은 본분을 충실히 하며 자신의 여가를 즐기는 아비와 어미가 되라. 그리고 이것을 보여 주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
본인은 중독문화를 죄문화로 정의 내리곤 한다. 어떤 한 가지에 중독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공동체, 예를 들어, 가족에 미치는 악영향은 여러 가지가 있다. 특별히 갈등의 문제다. 자신의 쾌락을 위해 가족 구성원들의 희생을 요구하면서 정작 본인은 희생하지 않는 개인주의는 참으로 위험하다.
인위적으로 막을 수 없을 만큼 쓰나미처럼 안방 깊숙이 들어와 있는 스마트 문화는 현실에 있어서 중독 문제로 야기시키고 있지만 현실적 대안이 없다. 하지마라. 주지마라. 과연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또한 이러한 문제를 교회 교역자나 교사에게 위임하지 말라. 부모가 먼저 문제점을 인식해야 내 아이를 지킬 수 있다.
첫째는 예배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해야한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야기 하겠지만 본인은 다섯 아이의 아버지로써 현실적 조언을 한다. 그 중에 감사한 것은 목사이기에 예수님 외에는 내 아이를 지킬 다른 방도를 찾지 못했다.
둘째는 가정의 영적질서를 바로 잡아야 한다. 부부가 서로 자녀 교육의 의견 차이를 나타내면 자녀들은 더욱 심각해지고, 중독되기 싶다. 부부 서로가 가정의 영적 질서를 세우고 자녀들 앞에서 스마트폰으로 인한 갈등을 보여서는 안 된다. 또한 가정의 머리인 남편을 영적 아비로 세워야 할 것이다.
셋째는 일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책임감 있는 삶을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모가 되라. 예배를 우선시 하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맡은 본분을 충실히 하며 자신의 여가를 즐기는 아비와 어미가 되라. 그리고 이것을 보여 주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

ⓒ 한국기독신문 & www.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