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서 유대민족은 철저하게 고난의 역사를 교육을 한다. 민족적 자존심을 최고로 짓밟았던 맛사다, 야드바셈, 통곡의 벽 등으로 수학여행을 시킨다. 그리고 지난날 자기 민족의 수치의 역사를 기억하며 이렇게 외친다. "아! 나는 유대인임을 자랑하노라. 아! 나는 유대인으로 살기를 원하노라." 또한 야드바셈 전시실 현판에는 이런 문구가 적혀 있다. "망각은 포로상태로 이어진다. 그러나 기억은 구원의 비밀이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에게 민족의 수치와 고난의 역사 교육을 한다. 직접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면서 남한산성과 삼전도비를 찾아가고, 이순신 장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울들목을 찾아가 민족의 정기를 심어준다. 아이들은 처음에는 역사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잘 모르고 장난을 치다가도 우리 민족이 당한 수치와 고난의 역사를 이야기해 주면 어느새 눈물을 글썽이는 아이들도 있다. 그리고 그 아이들은 과거 우리 역사의 고난과 수치를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해마다 6월이 되면 6.25전쟁 한국전참전용사 초청행사를 한다.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의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자녀들에게 역사의 시련과 아픔을 교육하고 투철한 국가관과 애국심을 심어주기 위해서다.
김훈은 소설 '남한산성'에서 '치욕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청 태종에 쫓겨 남한산성에 갇힌 인조의 47일간의 수치와 비탄의 기록을 생생하게 그려 놓았다. "죽어서 아름다울 것인가, 살아서 더러울 것인가?" 작가는 독자들의 망각된 기억을 수치의 역사현장 속으로 회귀시킨다. 그렇다. 우리는 수치를 기억해야 한다. 기억은 힘이다. 과거의 수치와 고난을 기억하는 자에게 힘이 있다. 우리 민족의 환희와 영광이 계속되려면 과거의 수치와 고난을 기억해야 한다. 특히 일본이 자행했던 정신대 할머니들의 인권유린과 언어말살, 문화침탈 등의 만행은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비록 우리가 세계화 시대에 일본문화를 받아들이고 도요타나 렉서스와 같은 차를 타고 다니더라도 그것은 기억해야 한다. 과거를 용서하더라도 기억해야 할 것은 기억해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자녀들을 위해 고난의 역사현장 방문과 역사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그럴 때 역사의 지평에서 개인의 인생도 힘이 있고 민족도 희망의 수레바퀴를 굴릴 수 있다. 기억하는 자에게 힘이 있다.

ⓒ 한국기독신문 & www.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