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1-04(월)
 
소강석목사 copy.jpg
  최근에 연해주를 방문하였다. 올해는 광복 70주년을 맞는 해가 아니던가. 연해주는 독립운동의 발원지요 최초로 임시정부가 세워진 곳이다. 블라디보스톡 공항에 도착하여 맨 먼저 최재형 선생이 처형당한 곳을 찾았다. 최재형, 그는 함경북도에서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9살 때 배고픈 환경을 극복하고 연해주의 드림을 꿈꾸며 포시에트 항구에 도착한다. 그러나 그는 너무나 배고프고 허기져서 항구에서 쓰러졌다. 바로 그 쓰러진 꼬마를 러시아의 한 선장 부부가 발견하고 양아들로 삼는다. 
 그런데 최재형은 천재였다. 러시아 말을 얼마나 유창하게 잘하는지 자라서 러시아 군의 통역관이 된다. 그는 천재일 뿐만 아니라 민족애와 조국애가 가슴을 사무치게 하였다. 그래서 연해주에 사는 고려인들에게 부지런히 농사를 짓고 가축을 키우면 자기가 러시아 군에 팔아주겠다고 고무시켰으며 약속대로 군납해 주었다. 그리고 자신이 얻은 이익금의 대부분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지원해 주었다.
특별히 안중근 의사의 모든 독립활동을 지원해 주고 무기를 사서 독립군들에게 공급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에 있는 한인들을 결집해서 조직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였다. 일본이 독립군들이 어떻게 넉넉하게 활동을 하는가, 의아해서 조사를 해 보니까 뒤에 최재형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1920년 4월, 일본 헌병대가 최재형을 새벽에 잡아다가 우수리스크에 있는 소베스가야 언덕으로 끌고 가서 처참하게 처형을 하였다.
 나는 먼저 최재형이 처형당한 언덕을 찾아갔다. 바로 그 옆에는 우수리스키 감옥이 있었다. 그 감옥에는 한 독립군이 잡혀서 갇혔다고 한다. 그 언덕은 건물도 없을 뿐만 아니라 기념비 하나도 없었다. 아직도 흰 눈이 쌓인 언덕이었다. 기억을 하고 일부러 찾아오는 사람들만 알고 있지 아무런 글자 하나 새겨지지 않았다. 나는 러시아 정부의 협조를 얻어서 기념비를 세워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그리고 그 언덕에 서서 생각해 봤다. “과연 대한민국 사람들 가운데 누가 얼마나 최재형선생을 알고 있는가. 더구나 독립운동을 하다가 비참하게 죽은 것을 누가 알겠는가. 최재형선생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가들의 피로 얼룩진 고난의 역사를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 고난과 수치의 역사를 기억하는 민족만이 강하고 미래가 보장되는데 과연 우리는 지난 날 민족의 수치와 피로 점철된 고난의 역사를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가.”
 그런 의미에서 이스라엘의 야드바셈 박물관 동판에는“망각은 포로상태로 이어진다. 그러나 기억은 구원의 비밀이다”는 글자가 새겨져 있지 않는가. 안내를 하는 선교사에게 그가 처형당할 때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 있는가를 물어 보았다. 그도 모른다고 하였다. 그날 밤, 아무리 인터넷을 뒤져도 자료가 없었다. 그래서 혼자 상상해 보았다. 일본 헌병이 최재형 선생을 얼마나 짐승처럼 두들겨패고 어쩌면 개머리판으로 온 몸과 머리까지 내리치지 않았을까. 그리고 총살을 시켰을 것이다. 그때 최재형선생의 생각과 내뱉었던 말을 상상해 보았다. 특별히 그가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니 나는 목사로서 이런 상상을 해 보았다.
 “하나님, 노비로 태어났던 몸이지만 조국의 독립을 위해 마흔까지 일하다가 이렇게 죽게 된 것도 영광일 뿐입니다. 그리고 조선인이여, 광복의 날은 반드시 올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의 이 수치와 비극을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해야 광복의 영광을 길이길이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상상을 해 볼 때 마치 최재형 선생의 음성이 광복의 아리아처럼 소베스가야 언덕을 메아리치는 듯 했다. 연해주를 메아리친 아리아가 한반도를 울리게 할 수는 없을까.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강석 칼럼] 연해주를 울린 아리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