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칠순을 향하여 나아가다 보니 시력이 근시안에 원시안까지 겹쳐지면서 불편스럽기 그지없지만, 한편으로는 인생을 생각하고 신앙을 생각하는 깊이가 더하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나이가 젊을 때는 멀리 볼 줄 모르고 사고력도 얕고 사물을 보는 것도 극히 피상적으로 보게 되는데 나이가 들면서 인생도 멀리 보게 되고 생각하는 것도 깊어지는 것을 느끼고 경험한다. 그러고 보면 인생만사 좋은 것만 있는 것도 아니고 나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공평하신 하나님이라는 말을 우리가 믿음으로 고백하는지도 모른다.
눈은 마음의 창이다. 그래서 ‘괴테’는 “눈은 감각의 여왕”이라 했고 ‘플라톤’은 “눈은 인간의 태양”이라고 갈파했다. 사물의 도리를 바라보는 눈을 활안(活眼) 이라 하고, 예리한 통찰력을 가진 눈을 혜안(慧眼)이라 하고,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눈을 구안(具眼)이라 하고, 밝게 빛나는 눈을 형안(炯眼)이라 한다. 눈이 있다고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볼 줄 아는 눈이 있어야 보이는 것이다.
성경에서도 눈으로 말미암아 복을 받은 자가 있었는가 하면 눈으로 말미암아 실패한 자들이 있다. 아담과 하와는 보암직하게 보인 눈 때문에 죄를 지었고, 삼손은 들릴라의 외적 아름다움을 보는 눈 때문에 결국 두 눈은 블레셋 사람들에 의해 뽑히는 고통을 당했다. 나귀가 보았던 하나님의 사자를 선지자 발람은 보지 못한 것은 물질을 먼저 보는 눈이 열렸기 때문이다. 예수를 정치적인 왕으로 보았던 가룟 유다는 인류의 구원자를 하찮은 은 30에 팔게 되었으며, 화해와 베풂의 원리를 실천했던 아브라함은 롯이 선택하고 난 이후에 바라본 황량한 사막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눈이 있었기에 축복의 주인공이 되었다.
시력이 좋지 않으면 안경을 사용한다. 목사는 책을 자주 보게 되어서 그런지 일반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다. 나도 예외는 아니어서 근시안에 원시안까지 겹쳐서 불편을 겪게 되는데 이것을 안타깝게 여기시고 다초점이라는 참 좋은 안경을 맞추어 주신 분이 계셔서 더 없는 고마움을 갖게 한다. 목사를 사랑하고 위하시는 마음! 그분의 눈을 보면서 ‘참 마음이 아름답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단순하게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안경을 맞추어 주신 것을 뛰어넘어 목사의 다양한 면면을 살펴볼 수 있는 마음의 눈이 아름답게 느껴진 것이다.
안경을 사용하면서 생각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에도 안경이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푸른 색깔의 안경을 쓰면 모든 사물이 푸르게 보이고, 붉은 빛깔의 안경을 쓰고 사물을 보면 모든 것이 붉게 보인다. 마찬가지로 마음의 안경도 어떤 색깔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다르게 보이고 느껴지는 것이다. 마음에 사랑의 색깔을 하고 보면 모든 것이 사랑스럽고, 감사의 색깔을 하고 보면 모든 것이 고마울 뿐이다. 불평과 불만의 색깔을 하고 인생을 보면 모든 것이 불만투성이일 뿐이고, 매사를 부정적으로만 보는 마음으로는 신실하고 정직한 사람들의 면면이 전부 부정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거짓말을 즐기는 사람은 상대방의 모든 말이 거짓으로 들리고, 사기를 치는 사람은 상대방의 모든 언행이 사기로 느껴지고, 매사에 부정부패에 길든 삶을 사는 사람은 공의와 진실을 생명처럼 여기는 사람들의 범사까지도 부정과 부패한 것으로 느껴지고 보이는 것이다.
눈은 마음의 창이다. 그래서 ‘괴테’는 “눈은 감각의 여왕”이라 했고 ‘플라톤’은 “눈은 인간의 태양”이라고 갈파했다. 사물의 도리를 바라보는 눈을 활안(活眼) 이라 하고, 예리한 통찰력을 가진 눈을 혜안(慧眼)이라 하고,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눈을 구안(具眼)이라 하고, 밝게 빛나는 눈을 형안(炯眼)이라 한다. 눈이 있다고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볼 줄 아는 눈이 있어야 보이는 것이다.
성경에서도 눈으로 말미암아 복을 받은 자가 있었는가 하면 눈으로 말미암아 실패한 자들이 있다. 아담과 하와는 보암직하게 보인 눈 때문에 죄를 지었고, 삼손은 들릴라의 외적 아름다움을 보는 눈 때문에 결국 두 눈은 블레셋 사람들에 의해 뽑히는 고통을 당했다. 나귀가 보았던 하나님의 사자를 선지자 발람은 보지 못한 것은 물질을 먼저 보는 눈이 열렸기 때문이다. 예수를 정치적인 왕으로 보았던 가룟 유다는 인류의 구원자를 하찮은 은 30에 팔게 되었으며, 화해와 베풂의 원리를 실천했던 아브라함은 롯이 선택하고 난 이후에 바라본 황량한 사막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는 눈이 있었기에 축복의 주인공이 되었다.
시력이 좋지 않으면 안경을 사용한다. 목사는 책을 자주 보게 되어서 그런지 일반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다. 나도 예외는 아니어서 근시안에 원시안까지 겹쳐서 불편을 겪게 되는데 이것을 안타깝게 여기시고 다초점이라는 참 좋은 안경을 맞추어 주신 분이 계셔서 더 없는 고마움을 갖게 한다. 목사를 사랑하고 위하시는 마음! 그분의 눈을 보면서 ‘참 마음이 아름답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단순하게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안경을 맞추어 주신 것을 뛰어넘어 목사의 다양한 면면을 살펴볼 수 있는 마음의 눈이 아름답게 느껴진 것이다.
안경을 사용하면서 생각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에도 안경이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푸른 색깔의 안경을 쓰면 모든 사물이 푸르게 보이고, 붉은 빛깔의 안경을 쓰고 사물을 보면 모든 것이 붉게 보인다. 마찬가지로 마음의 안경도 어떤 색깔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다르게 보이고 느껴지는 것이다. 마음에 사랑의 색깔을 하고 보면 모든 것이 사랑스럽고, 감사의 색깔을 하고 보면 모든 것이 고마울 뿐이다. 불평과 불만의 색깔을 하고 인생을 보면 모든 것이 불만투성이일 뿐이고, 매사를 부정적으로만 보는 마음으로는 신실하고 정직한 사람들의 면면이 전부 부정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거짓말을 즐기는 사람은 상대방의 모든 말이 거짓으로 들리고, 사기를 치는 사람은 상대방의 모든 언행이 사기로 느껴지고, 매사에 부정부패에 길든 삶을 사는 사람은 공의와 진실을 생명처럼 여기는 사람들의 범사까지도 부정과 부패한 것으로 느껴지고 보이는 것이다.
무학대사와 이성계의 농담주고받기 이야기는 그래서 교훈이 된다. 친구 관계를 상기하면서 농담주고받기를 하게 된 상황에 이성계가 먼저 무학대사를 보고 “대사의 얼굴은 돼지같이 생겼다.”고 하면 무학대사는 이성계를 향하여 “임금의 얼굴은 개같이 생겼다.”라고 받아야 하는데 대사는 “임금의 얼굴을 보니 부처님같이 생겼다.”라고 하여 이성계가 화를 내면서 친구 관계로 허심탄회하게 마음 주고받고자 하는데 이러느냐고 하자 무학대사가 “아무리 개 같다고 하려 해도 바라보니 부처님처럼 보이는데 어떻게 개같이 생겼다고 할 수 있느냐?”고 받았다. 그래서 내 마음이 부처면 모든 사람이 부처로 보이고 느껴진다는 이치다. 내 마음이 맑으면 보이는 것 또한 맑게 보이는 것이다.
내가 그러므로 남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동일시의 오류다. 그래서 도둑의 눈에는 사람들이 도둑으로 보이고 부처님 눈에는 모든 것이 부처님으로 보인다고 한다. 남을 내 생각으로 재단하기 때문에 생기는 불합리성이다. 그 근간이 마음이다.
그러기에 주님은 천국과 지옥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있다고 하신 말씀이 진리이다. 사랑과 감사가 있는 마음은 천국이지만 미움과 원망과 저주가 있는 마음은 이미 지옥이다.
“먼 곳만 보는 사람은 가까운 곳에 발이 걸려 넘어지고, 가까운 곳만 보는 사람은 먼 곳에 있는 적에게 공격을 받는다.”는 경영리더십의 교훈이 생각난다. “곤충의 눈으로 발밑을 보고, 새의 눈으로 먼 곳을 응시하라.”는 교훈도 있다. 그것은 동시에 나무와 숲을 모두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기업경영이나 정치현장에서도 가까운 곳만 보고 있어서는 트렌드의 변화나 외부의 위협을 감지하지 못하고, 반대로 먼 곳만 보고 있어서는 내부의 균열을 파악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교훈한다. 교회생활에서는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도 그리스도인의 마음이 예수님을 닮아간다면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이 예수님처럼 좋은 이치를 새삼 되새겨 본다.
내가 그러므로 남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동일시의 오류다. 그래서 도둑의 눈에는 사람들이 도둑으로 보이고 부처님 눈에는 모든 것이 부처님으로 보인다고 한다. 남을 내 생각으로 재단하기 때문에 생기는 불합리성이다. 그 근간이 마음이다.
그러기에 주님은 천국과 지옥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있다고 하신 말씀이 진리이다. 사랑과 감사가 있는 마음은 천국이지만 미움과 원망과 저주가 있는 마음은 이미 지옥이다.
“먼 곳만 보는 사람은 가까운 곳에 발이 걸려 넘어지고, 가까운 곳만 보는 사람은 먼 곳에 있는 적에게 공격을 받는다.”는 경영리더십의 교훈이 생각난다. “곤충의 눈으로 발밑을 보고, 새의 눈으로 먼 곳을 응시하라.”는 교훈도 있다. 그것은 동시에 나무와 숲을 모두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기업경영이나 정치현장에서도 가까운 곳만 보고 있어서는 트렌드의 변화나 외부의 위협을 감지하지 못하고, 반대로 먼 곳만 보고 있어서는 내부의 균열을 파악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교훈한다. 교회생활에서는 물론이고 일상생활에서도 그리스도인의 마음이 예수님을 닮아간다면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이 예수님처럼 좋은 이치를 새삼 되새겨 본다.
ⓒ 한국기독신문 & www.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