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13(금)
 


image02.jpg

그들은 어떻게 이단이 되었는가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놓은 코로나19 대유행은 모든 면에 깊은 상흔을 남기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동안 물밑에 숨어있던 이단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신천지와 전광훈 효과다. 복음주의계의 석학 알리스터 맥그라드는 1~4세기 초기기독교 역사에서 일어난 논쟁을 통하여 이단의 기원과 본질을 탐구하며 이단은 ‘역사적 싸움에서 패배한 정통’이 아니라 신학적 탐구 과정에서 생긴 ‘신학적 막다른 골목’으로 몰린 이들이다. 이단은 속성상 역사처럼 반복하여 되풀이 되니 수렁에 빠지지 않으려면, 과거의 역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정통이 박제화된 고리타분한 것이 아니라 G.K. 체스터튼이 말한 ‘정통신앙의 로맨스’를 재발견하여 교회 스스로 그 매력을 증명함으로써 이단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소개

알리스터 맥그라스: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난 21세기를 대표하는 복음주의 신학자. 어린 시절부터 수학과 물리, 화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을 섭렵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여 스물다섯살에 박사학위를 받은 수재. 한때 자유주의에 심취하기도 하였으나 리처드 백스터, 존 오웬, 조나단 에드워드 등의 영향으로 복음주의신학자가 되었다. 지금은 옥스퍼드 대학교 과학과 종교분과의 안드레아스 이드레어스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기독교의 역사》 《도킨스의 망상》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등이 있다. 포이에마, 2011년. 15,000원.

 

∥같이 읽으면 좋은 책

《교회와 이단》 / 탁지일 / 두란노

《이단백서》 / 조믿음 / CUP / 바른미디어

    

  

이단은 역사처럼 스스로 반복한다

- ‘정통신앙의 로맨스’를 재발견해야 -

 

▌좌담: 김길구 전 부산YMCA 사무총장, 김현호 기쁨의집 대표, 김형기 팔복교회 목사

 

image01.jpg
451년 로마의 교황 레오1세의 요청으로 동로마 황제 마르키아누스가 소아시아 칼케톤에서 연 공의회

 

 

한국은 이단들의 천국

김길구 코로나19의 여파는 우리사회 곳곳에 전방위적인 상흔을 남기고 있지만 교계에서는 뜻밖에 신천지 등 ‘이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우리나라의 이단·사이비 교세는 얼마나 되지요?

김형기 이단의 특성상 정확지는 않지만 기독교를 빙자한 이단·사이비가 기독교인 대여섯 명당 1명 꼴이라는 추정이 있어요. 통계청이 10년 단위로 실시하는 센서스의 2015년 통계를 보면 총 인구의 19.7%인 967만 6천 명이 교인이니. 대략 160만 명에서 20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심각한 수준이지요.

김현호 유독 기독교계가 많은 것은 미국 기독교의 영향으로 군소교파의 난립과 기존 교회의 70~80%가 미자립상태로 개교회주의가 강해 통제가 어렵기 때문이 아닐까요?

김길구 이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이 책을 선정했는데 2011년 번역된 이래 올 9월에 6쇄가 나왔으니 꾸준히 읽히는 편이네요.

김형기 저자의 이름 값 때문이 아닐까요. 주제도 그렇거니와 400쪽에 가까워 읽기도 부담스런 책인데‥

김현호 다양한 분야의 학위가 다섯 개일 정도로 박학다식해 읽는 재미도 있어 독자층이 두터운 편입니다.

김형기 이 책은 1~4세기까지의 정통과 이단의 관계에 머물러 있어, 지금 우리 주변에서 발호하는 이단들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답은 주지 못하지만 ‘역사와 이단은 스스로 반복하는 습관이 있’으니이단들의 기원과 본질을 알고 반면교사를 삼아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김현호 총 4부 10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새 장에 들어가기 전 친절하게도 본문 내용을 미리 요약해둬 독서에 도움이 됩니다.

 

이단,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오인

김길구 저술 동기가 점증하는 이단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이라고 했는데, 서구 유럽의 기독교 쇠퇴와도 무관치 않겠죠?

김형기 획일화를 꺼리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포스터모던니즘의 영향도 있구요.

김현호 기존권위에 대한 거부감도 요인이겠죠.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죠.

김길구 2003년 교계와 출판계를 흔들었던 댄브라운의 〈다빈치 코드〉와 〈유다복음〉 발견 등에서 보듯 초기기독교의 다양성과 정경의 채택 등의 과정에서 권력이 개입하여 정통과 이단의 판단에 영향을 끼쳤다는 일종의 음모설에 열광하는 현대인들 정서가 있어, 신뢰를 잃은 정통보다는 듣기에 솔깃한 이단들에게 현혹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 것도 사실입니다.

김형기 이에 대해 저자는 정통적 신앙이 권력을 남용해서 얻은 정치적 산물은 아니며, 도리어 톰 라이트의 주장처럼 《유다복음》의 경우 당시에 유행한 영지주의를 배척하고 더 혁신적인 선택의 결과가 지금의 정통이 되었다는 주장을 지지합니다.

김현호 이단과 정통의 개념이 출현한 배경에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통일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확실한 핵심교리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데 이 과정에서 이단이란 의미가 점차 부정적인 의미를 띄며 바꿔가게 되었어요.

 

시대별 이단 논쟁

김길구 각 시대별 논쟁을 다 소개할 수도 없고 목사님께서 짧게 정리해 주시죠.

김형기 고대교회는 그리스도의 정체성 확립 과정에서 이단이 많이 생겨났고, 중세에는 교황권의 권위에 도전, 교회의 통일성이 깨뜨려 이와 관련한 이들이 정죄 되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었고, 현대에 와서는 종말론과 관련 이단들이 많아졌는데,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극우파들의 출연으로 교회와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

김현호 저자는 이 책에서 점잖게 신앙의 신비를 잘 설명하기 위한 선의의 견해 차이 정도로 이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단·사이비의 경우 그렇지않은 경우가 더 많아, 탁지일교수의 지적처럼 ‘이단문제는 날카로운 교리적 분석의 눈이 아닌 애통해하는 피해자의 눈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말에 공감이 가요.

 

이단발생의 문화적 동인과 지적 동기

김길구 저자는 이단 발생 요인을 5가지로 간추려 제시했는데 하나씩 소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김현호 첫째는 문화적 규범입니다. 동시대의 문화적 가치관과 기독교적 가치관이 다르면 시대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압박이죠. 둘째는 합리적 규범입니다. 기독교의 관념이 올바른 이성과 판이하게 다를 경우 합리적 기준에 맞춰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지요. 셋째는 사회적 정체성입니다. 모든 사회집단은 나름의 정체성을 가져야 유지됩니다. 정체성을 확립할 수단으로 종교적 관념을 이용하려는 유혹을 가질 수 있다는 거죠.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입니다.

김형기 넷째는 종교적 타협입니다. 기독교와 다른 종교집단이 공존할 때는 공존을 촉진시키기 위하거나 믿을만한 변증을 개발하기 위해 기독교 신앙의 일부를 수정하려는 태도입니다. 끝으로 윤리적 관심입니다. 종교적 정통파가 도덕적으로 너무 관대하거나 무정부상태에 가까울 때와 너무 억압적이라고 생각이 들 때 이단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교회사에서 일어난 풍부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는데, 이러한 요인은 과거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압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교회는 세상을 등지고 홀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매력적인 기독교를 위하여

김길구 끝으로 점점 박제화되고 있는 기독교의 정통성을 매력 있게 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김형기 ‘매력적이라’ 정통신앙이 구원의 복음인 기독교 진리를 진정성 있게 올바르게 표방하면 되겠지요. 저자의 말대로 ‘교회가 당면한 진정한 도전은 정통이야말로 강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으로 매력 있고, 심리적 감각을 증진하고, 개인적으로 해방감을 주는 것임을 증명하는 일이다’고 생각합니다.

김현호 저는 쓴소리를 해야겠어요. 지금 한국교회는 ‘고상한 신학’이 아니라 ‘상식적인 신앙’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금 상태로는 시시비비를 가릴 능력이 없어요. 사회적 위상과 공신력이 심각히 훼손된 상황에서 공정성을 주장할 수 없게 되었으니까요. 알리스터 맥그라스의 말대로 종교가 존재하는 이유를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함이 아니라 진리를 찾기 위함이라고 말에 귀기우릴 때입니다.

김길구 장시간 수고하셨습니다. 다음달 책은 루이스의 명저 <스크루테이프의 편지>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했습니다.

  [정리: 김길구]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독교인문학] 이단은 역사처럼 스스로 반복한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