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2(화)
 

이상규 교수.jpg

‘기독교아동복리회’(Christian Children's Fund, 이하 CCF)는 ‘중화아동기금’(China Children's Fund) 라는 이름으로 1938년 10월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에서 비분파적 비영리 구호단체로 시작되었다. 클라크(J. Calvitt Clarke)라는 장로교 목회자와 나글 (Dr Nagle)이라는 중국 출신 감리교 선교사가 한 이발소에서 대화하던 중 중일전쟁으로 인한 중국 난민들과 중국의 굶주린 아이들이 가난과 질병으로 고통당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충격을 받은 클라크 목사는 중국 아동들을 위한 기금을 모우는 재단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이 일이 결실을 맺어 1938년 10월 6일 ‘중화아동기금’이라는 조직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것이 CCF의 시작이었다. 1939년 12월 27일에는 모금한 기금 중 1만3천 달러를 중국 광동지역 고아들과 링난대학에 보냈고, 1940년 8월 21일에는 다시 1천 달러를 중국아동복지위원회에 보냈다. 이 구호사업이 확장되어 1941년에는 중국의 29개 고아원을, 1944년에는 중국의 45개 고아원을 도왔는데 이 해에만 26만3천 달러를 후원했다고 한다. 1946년 6월과 7월 클라크 목사는 밀스 목사(Verent Russell Mills)와 함께 중국을 방문하고 21개 고아원을 둘러보면서 중국의 현실을 보게 되었다. 클라크는 중국 특히 광동지역 고아들을 위해 사랑의 손길을 펼쳤으나 1949년 10월 중국이 공산화되고 중국의 반기독교 정책 때문에 1950년 9월 말 이후로는 중국의 고아들을 더 이상 도울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의 46개 고아원과 고아원에 수용된 5천여 명의 아동들, 그리고 2백만 달러에 달하는 재산을 포기하고 중국에서 철수하였다. 이때 아동구호단체 명칭도 동일한 영어 이니셜을 사용하여 1951년 2월 6일자로 기독교아동복리회(CCF)로 변경되었다. 그 후 CCF는 홍콩, 대만, 마카오에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고 구호 사업을 계속하였고, 이 사역은 말레시아, 미얀마, 인도 필리핀으로 확대되는데, 한국에서의 사역은 1948년 10월부터 시작되었다. ‘기독교아동복리회’라고 해서 기독교 신자들에게만 도움을 베푼 것은 아니다. 이들은 기독교 신자이든 아니든 구별 없고, 종교나 국적 인종적 차별 없이 도움을 베풀고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2002년 6월에는 여러 나라에서 사역하고 있는 아동후원단체가 국제적인 연락망(network)을 구성하였고, 2009년 7월 1일에는 기독교아동복리회는 국제어린이재단(Child Fund International)로 개칭되어 오늘이 이르고 있다. 당시 31개 국가에서 1,300만명 이상의 어린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단체로 성장하였다.

 

 그렇다면 CCF는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사역하게 되었을까? CCF해외사업본부 홍콩사무소 책임자였던 밀즈 목사는 1948년 10월 한국을 방문하고 한국의 3개 고아원, 곧 서울의 구세군 후생원, 구세군 혜천원, 그리고 절제소녀관(후에 연세사회복지관으로 개칭되었다)을 돕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CCF의 한국에서의 사역의 시작이었다. 이들 세 시설에 수용된 아동들은 약 400여명에 달했다. 곧 이어 구세군 후생학원과 안양기독보육원을 후원하였는데 이들 시설에 수용된 아동들은 대부분 공산정권에 반대하여 월남한 사람들의 자녀이거나 월남하던 중 부모를 잃은 고아들이었다. 안양기독보육원은 오긍선 박사가 운영하던 아동보호시설이었다. 오긍선 박사는 한국인 처음으로 경성보육원을 설립했는데, 1930년대 안양시 만안구 안양2동으로 옮기면서 안양기독보육원으로 개칭한 아동보호시설이었다.

 

 밀즈는 CCF의 초기 지도자 중의 한 사람으로 중일전쟁(1937. 7. 7- 1945. 9. 3) 당시 죽어가던 수많은 어린이들의 실상을 보고 그들의 고통과 아픔을 해결하게 위해 노력하여 ‘고아들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바로 그의 노력으로 한국에서도 사역을 시작한 것이다. 그는 클라크, 버본 켐프(Verbon E. Kemp)에 이어 1970년 CCF의 제3대 총제가 되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기독교이야기] 전쟁기 구호단체들: 기독교아동복리회(CCF)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