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8월 6일 대국민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 취임 후 네 번째입니다(2013.3.4/2014.1.6/2014.5.19). 광복 70주년 및 임기반환점을 앞두었기 때문인지 몰라도 담화문은 자못 비장하고 절박했습니다. “지금 세계 경제는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급격히 재편되면서 각국의 생존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3~4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 통절한 상황분석입니다. “절실하다”는 말이 두 차례, “절체절명” 1회, “간곡하게 요청/부탁합니다”란 말은 무려 다섯 번이나 나옵니다. 그러면서 제시한 것이 바로 공공·노동·교육·금융 4대 ‘개혁’입니다. 매우 시의적절할 뿐만 아니라, 담화문에서 대통령이 제시한 몇 가지 원칙은 아래와 같이 한국교회에도 의미심장한 울림(echo)입니다.
첫째, 개혁의 절박성(切迫性)입니다.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우리나라가 세계경제의 주역으로 다시 한 번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에 대한 대수술이 불가피합니다”(담화문, 이하 생략). 한국 교계에도 너무나 적실(適實)한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교회를 개혁해야 한다는 원칙론에 있어서만큼은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고질적인 적폐(積弊)에는 근본적인 대수술이 불가피하다는 인식과 의지를 갖고 있는 경우는 드문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 우리가 가고자 하는 개혁의 길은 국민 여러분에게 힘든 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와 후손들을 위해서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입니다.” 공감합니다. 비록 아픔이 있어도 환부를 도려내고 치료해야 살아나지 않겠습니까?
둘째, 개혁의 연대성(連帶性)입니다. “(개혁은) 국민 여러분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적극적인 동참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한 배를 타고 있는 운명공동체라는 인식으로 힘을 모아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 드립니다··· 혁신과 개혁의 동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옵니다.” 세상 사람들도 이럴진대 하물며 성령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야하는(엡 2:21~22) 교회공동체는 어떻겠습니까? “대승적인 결단이 필요합니다. 조금씩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발휘해 줄 것을 간곡히 당부 드립니다.” 교회는 더욱 그러합니다. ‘우리만 교회다’라는 식의 개(個)교회주의(individualism)는 그만 벗어던져야 합니다. 한국교회 전체의 생존과 부흥을 위해 교단과 계파를 초월해서 서로 관용하고 양보하여 종교개혁의 정신, 우리가 나온 샘의 근원으로 다시 함께 돌아가야(ad fontes) 할 때입니다.
셋째, 개혁의 혁신성(革新性)입니다. “낡은 시스템과 관행··· 보신주의에 안주”하지 말고, “혁신과 아이디어”로 “우리 안에 내재된 창조적 기질과 역량을 재발견하고, 국민 개개인이 창의력을 발현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혁의 성패를 좌우한다 했습니다. 사실 “창조적”이라는 말보다 더 성경적인 용어가 어디 있습니까? 개혁은 때로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를 수반합니다. 노아 홍수 사건을 생각해 보십시오. 예루살렘 멸망 사건은 또 어떻습니까? 이제 우리도 혹 본질과 무관한 낡은 관행과 전통에 안주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교회개혁’이란 기존의 전부를 다 뜯어 고치자는 것이 아니라, 썩어버리고 일탈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고치겠노라는 고백이요 결단임을 분명하게 마음에 새기고(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회(悔)하고 개(改)하는 교회들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개혁은 이제 더 이상 어떤 한 사람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의견이 아니라 모두가 공유하고 가야 할 당위요 과제라는 사실을 이번 대통령 담화로부터 다시 한 번 깨닫게 됩니다. 그런데 원래 세상은 스스로 개혁하기 힘듭니다(사 53:6). 교회개혁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 또 있습니다. 교회개혁은 교회 자체를 정화할 뿐 아니라 부패하고 오염된 세상을 순화시키는 영적 정수기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입니다. 개혁이 절실합니다(절박성), 우리 함께 기도하고 힘을 합쳐(연대성), 곪은 부위를 잘라내고 새살 돋게 하는(혁신성) 교회와 세상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첫째, 개혁의 절박성(切迫性)입니다.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우리나라가 세계경제의 주역으로 다시 한 번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반에 대한 대수술이 불가피합니다”(담화문, 이하 생략). 한국 교계에도 너무나 적실(適實)한 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교회를 개혁해야 한다는 원칙론에 있어서만큼은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고질적인 적폐(積弊)에는 근본적인 대수술이 불가피하다는 인식과 의지를 갖고 있는 경우는 드문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 우리가 가고자 하는 개혁의 길은 국민 여러분에게 힘든 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와 후손들을 위해서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입니다.” 공감합니다. 비록 아픔이 있어도 환부를 도려내고 치료해야 살아나지 않겠습니까?
둘째, 개혁의 연대성(連帶性)입니다. “(개혁은) 국민 여러분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적극적인 동참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한 배를 타고 있는 운명공동체라는 인식으로 힘을 모아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 드립니다··· 혁신과 개혁의 동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옵니다.” 세상 사람들도 이럴진대 하물며 성령 안에서 함께 지어져 가야하는(엡 2:21~22) 교회공동체는 어떻겠습니까? “대승적인 결단이 필요합니다. 조금씩 양보와 타협의 정신을 발휘해 줄 것을 간곡히 당부 드립니다.” 교회는 더욱 그러합니다. ‘우리만 교회다’라는 식의 개(個)교회주의(individualism)는 그만 벗어던져야 합니다. 한국교회 전체의 생존과 부흥을 위해 교단과 계파를 초월해서 서로 관용하고 양보하여 종교개혁의 정신, 우리가 나온 샘의 근원으로 다시 함께 돌아가야(ad fontes) 할 때입니다.
셋째, 개혁의 혁신성(革新性)입니다. “낡은 시스템과 관행··· 보신주의에 안주”하지 말고, “혁신과 아이디어”로 “우리 안에 내재된 창조적 기질과 역량을 재발견하고, 국민 개개인이 창의력을 발현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혁의 성패를 좌우한다 했습니다. 사실 “창조적”이라는 말보다 더 성경적인 용어가 어디 있습니까? 개혁은 때로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를 수반합니다. 노아 홍수 사건을 생각해 보십시오. 예루살렘 멸망 사건은 또 어떻습니까? 이제 우리도 혹 본질과 무관한 낡은 관행과 전통에 안주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교회개혁’이란 기존의 전부를 다 뜯어 고치자는 것이 아니라, 썩어버리고 일탈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고치겠노라는 고백이요 결단임을 분명하게 마음에 새기고(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회(悔)하고 개(改)하는 교회들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개혁은 이제 더 이상 어떤 한 사람이나 집단의 주장이나 의견이 아니라 모두가 공유하고 가야 할 당위요 과제라는 사실을 이번 대통령 담화로부터 다시 한 번 깨닫게 됩니다. 그런데 원래 세상은 스스로 개혁하기 힘듭니다(사 53:6). 교회개혁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 또 있습니다. 교회개혁은 교회 자체를 정화할 뿐 아니라 부패하고 오염된 세상을 순화시키는 영적 정수기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입니다. 개혁이 절실합니다(절박성), 우리 함께 기도하고 힘을 합쳐(연대성), 곪은 부위를 잘라내고 새살 돋게 하는(혁신성) 교회와 세상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 한국기독신문 & www.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