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神이 만든 수수께끼
- 고전에 대한 기독교 인문학적 해석 -
저자가 지역선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7년 동안 월 1회 기독교인문학 강좌를 개설하여 강의한 내용 중 일부를 이 책에 담았다. 당시에 모신문사가 게재한 서울대학교 세계인문학 고전 추천도서 100권을 보고 힌트를 얻어 기독교 인문학적 시각에서 강의한 고전 중 50권을 존재란 주제로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이 강좌는 젊은 층으로부터 호응을 얻어 교회성장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전도의 새로운 대안으로 기독교 인문학을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문학평론을 전공한 저자의 인문학적 전문성이 돋보이는 이 책은 최인훈의 〈광장〉,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그리고 사마천의 〈사기〉, 서양편에서는 푸코의 〈감시와 처벌〉, 플라톤의 〈국가론〉 등 50편의 작품해설과 평가 그리고 기독교적 이해가 담겨 있다.
◇ 저자소개 ∥고시영 목사는 성균관 대학교 국문학과에서 문학평론을 전공하고 서울장신대학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문학교육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에서 목회상담 등을 전공했다. 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재직하다 25년 전 53세의 늦은 나이에 부활교회를 개척, 설립하고, 성전을 건축했으나 전도가 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던 중 신문에서 서울대학교 추천도서 100권을 보고 전공을 살려 지역민을 위한 인문학 강좌를 월 1회 실시하여 개척 12년 만에 건평 560평의 성전을 헌당하였다. 모교인 서울장신대학교에 인문학 연구소 개설하여 인문학이라는 말이 생소하던 당시 불모의 땅에 기독교 인문학 보급에 힘써 온 공로로 2017년 한남대학교에서 수여하는 인돈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구의교회 담임 목사, 부활교회 설립 목사, 서울장신대학교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고, 지금은 은퇴 후 설교보다는 기독교 인문학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 저서∥《검인정 중고등학교 성경교과서》, 《기독교 인문학적 자기성찰》 등 다수가 있다.
죠이북스 / 2022.2.25. / 23,000원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인간이 된다는 것》 / 로완 윌리엄스 / 복있는 사람
《인간, 그 100개의 가면》 / 고시영 / 드림북
“교회성장의 새로운 시도, 기독교 인문학”
-한국교계 기독교인문학 개척자 고시영 목사-
죠이북스 / 2022.2.25. / 23,000원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인간이 된다는 것》 / 로완 윌리엄스 / 복있는 사람
《인간, 그 100개의 가면》 / 고시영 / 드림북
“교회성장의 새로운 시도, 기독교 인문학”
-한국교계 기독교인문학 개척자 고시영 목사-
기독교 인문학의 정의
“기독교 인문학은 기독교적 입장 즉 성경적 진리를 가지고 인문학을 이해, 비판, 수용하는 것을 뜻한다.”
교회성장 도구로서의 기독교 인문학?
김길구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기독교 인문학에 대한 인식이 나아졌지만, 교회의 성장에 무슨 도움이 되느냐는 부정적 견해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다소 생소한 기독교 인문학을 목회에 도입, 교회의 성장 동력으로 삼으신 고시영 목사님이 저술한 《인간, 신(神)이 만든 수수께끼》란 책을 가지고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김현호 서울대학교에서 추천한 고전 100선 중 존재란 주제로 그 절반인 50권을 선정하여 기독교 인문학적 해석을 한 책으로, 각 권은 작가와 작품해설, 해석과 평가, 기독교적 이해로 각 8쪽씩 총 415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류지원 첫 인상은 가정에 한, 두 세트씩 있음직한 문학전집 맨 뒤에 붙어있는 작품의 해설집 같은 느낌이었는데, 그 난해한 작품들을 전문가의 맛깔난 글솜씨와 쉬운 설명, 예리한 통찰로 우리를 고전의 세계로 인도합니다. 저자가 문학평론을 전공한 국문학과 출신으로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다 소명을 받고 신학을 전공, 53세의 늦은 나이에 교회를 개척, 설립하고 목회한 경륜이 돋보이는 책으로 인문학 교재로도 좋겠습니다.
김길구 저 개인적으로는 기독교 인문학적 해석이라는 제목을 보고 책을 주문했는데, 저자가 제가 다니는 교회의 김태영 목사님과 사돈지간이라는 사실을 뒤에 알곤 세상 참 좁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서울장신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하신 저자에게 기독교 인문학에 관한 글을 부탁드렸더니 〈교회성장의 새로운 시도로서 기독교 인문학〉 제목의 글을 보내주셨습니다. 오늘은 그 발제문과 함께 이 책에 대한 얘기를 해보지요. 우선 제목이 도전적입니다. 인문학이 교회성장의 도구가 될 수 있다 ! 인문학이란 말을 불온 시 하는 교계의 분위기가 여전한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세요?
김현호 이 책은 저자 자신의 목회현장인 부활교회에서 7여 년 동안 매월 1회씩 강의한 인문학강좌의 내용을 묶은 것으로 자신이 몸소 경험한 개척교회의 성공 사례라 새로운 대안 목회의 롤 모델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지요.
김길구 우리 사회에서 일고 있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기독교 인문학에 대한 인식이 나아졌지만, 교회의 성장에 무슨 도움이 되느냐는 부정적 견해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다소 생소한 기독교 인문학을 목회에 도입, 교회의 성장 동력으로 삼으신 고시영 목사님이 저술한 《인간, 신(神)이 만든 수수께끼》란 책을 가지고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김현호 서울대학교에서 추천한 고전 100선 중 존재란 주제로 그 절반인 50권을 선정하여 기독교 인문학적 해석을 한 책으로, 각 권은 작가와 작품해설, 해석과 평가, 기독교적 이해로 각 8쪽씩 총 415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류지원 첫 인상은 가정에 한, 두 세트씩 있음직한 문학전집 맨 뒤에 붙어있는 작품의 해설집 같은 느낌이었는데, 그 난해한 작품들을 전문가의 맛깔난 글솜씨와 쉬운 설명, 예리한 통찰로 우리를 고전의 세계로 인도합니다. 저자가 문학평론을 전공한 국문학과 출신으로 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다 소명을 받고 신학을 전공, 53세의 늦은 나이에 교회를 개척, 설립하고 목회한 경륜이 돋보이는 책으로 인문학 교재로도 좋겠습니다.
김길구 저 개인적으로는 기독교 인문학적 해석이라는 제목을 보고 책을 주문했는데, 저자가 제가 다니는 교회의 김태영 목사님과 사돈지간이라는 사실을 뒤에 알곤 세상 참 좁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서울장신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하신 저자에게 기독교 인문학에 관한 글을 부탁드렸더니 〈교회성장의 새로운 시도로서 기독교 인문학〉 제목의 글을 보내주셨습니다. 오늘은 그 발제문과 함께 이 책에 대한 얘기를 해보지요. 우선 제목이 도전적입니다. 인문학이 교회성장의 도구가 될 수 있다 ! 인문학이란 말을 불온 시 하는 교계의 분위기가 여전한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세요?
김현호 이 책은 저자 자신의 목회현장인 부활교회에서 7여 년 동안 매월 1회씩 강의한 인문학강좌의 내용을 묶은 것으로 자신이 몸소 경험한 개척교회의 성공 사례라 새로운 대안 목회의 롤 모델로서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지요.
신앙과 동시에 인문학적 이해 필요
김길구 칼뱅은 ‘하나님을 알려면 인간을 알아야 하고, 인간을 알려면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바 있습니다. 우선 기독교 인문학의 정의부터 확인하고, 왜 필요한지 알아보죠.
류지원 저자는 발제문에서 인문학과 기독교인문학의 차이를 말하고 있습니다. 우선 인문학이란 문학, 철학, 역사 등을 통하여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학문으로 기독교 인문학과의 차잇점은 ‘기독교적 입장, 즉 성경적 진리를 가지고 인문학을 이해, 비판, 수용하는 것으로 교회 내 불필요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무분별한 인문학의 수용에는 분명히 선을 긋고 있어요.
김현호 저자는 인문학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도가 예전만 못해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보다 믿는 자들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세상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훈련된 교양있는 교인들이 필요하고, 기존의 교회가 엇비슷해 교회의 차별화가 필요한데, 시설을 좋게 하려니 돈이 많이 들고, 설교를 통하여 차별화하려니 목사의 선택이 여의치 않은 현실에서, 저자는 기독교 인문학은 평신도 중심의 자생력 있는 교인을 확보할 수 있고, 불신자들도 편하게 참여할 수 있어 전도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류지원 교인들의 변화에도 주목해야죠.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기복신앙이나 자기 생각이나 자기 자랑, 예화 중심, 지나치게 주관적인 간증 설교, 재탕 삼탕 하는 되풀이 설교에 지친 실망한 교인들은 깊은 주제, 삶을 사는데 필요한 자각, 깨달음이 있는 수준 높은 설교에 목말라 있고,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이해하게 되면 서로를 용납하고 용서하는 사랑의 공동체가 되어 평화로운 교회를 만드는데 도 기독교 인문학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지요.
김현호 이 책 인간, 신이 만든 수수께끼라는 제목은 ‘인간은 천사와 악마 사이를 오가는 수수께끼 같은 존재’라는 쾨테의 말에서 따왔는데 이 수수께끼를 풀려면 신앙과 동시에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는 뜻이겠죠. 그러기 위해선 목회자의 리더십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교인들과 지역의 여건 등 이 잘 어우러져야지요.
김길구 칼뱅은 ‘하나님을 알려면 인간을 알아야 하고, 인간을 알려면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바 있습니다. 우선 기독교 인문학의 정의부터 확인하고, 왜 필요한지 알아보죠.
류지원 저자는 발제문에서 인문학과 기독교인문학의 차이를 말하고 있습니다. 우선 인문학이란 문학, 철학, 역사 등을 통하여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학문으로 기독교 인문학과의 차잇점은 ‘기독교적 입장, 즉 성경적 진리를 가지고 인문학을 이해, 비판, 수용하는 것으로 교회 내 불필요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무분별한 인문학의 수용에는 분명히 선을 긋고 있어요.
김현호 저자는 인문학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도가 예전만 못해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보다 믿는 자들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세상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훈련된 교양있는 교인들이 필요하고, 기존의 교회가 엇비슷해 교회의 차별화가 필요한데, 시설을 좋게 하려니 돈이 많이 들고, 설교를 통하여 차별화하려니 목사의 선택이 여의치 않은 현실에서, 저자는 기독교 인문학은 평신도 중심의 자생력 있는 교인을 확보할 수 있고, 불신자들도 편하게 참여할 수 있어 전도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류지원 교인들의 변화에도 주목해야죠.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기복신앙이나 자기 생각이나 자기 자랑, 예화 중심, 지나치게 주관적인 간증 설교, 재탕 삼탕 하는 되풀이 설교에 지친 실망한 교인들은 깊은 주제, 삶을 사는데 필요한 자각, 깨달음이 있는 수준 높은 설교에 목말라 있고,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이해하게 되면 서로를 용납하고 용서하는 사랑의 공동체가 되어 평화로운 교회를 만드는데 도 기독교 인문학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지요.
김현호 이 책 인간, 신이 만든 수수께끼라는 제목은 ‘인간은 천사와 악마 사이를 오가는 수수께끼 같은 존재’라는 쾨테의 말에서 따왔는데 이 수수께끼를 풀려면 신앙과 동시에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는 뜻이겠죠. 그러기 위해선 목회자의 리더십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교인들과 지역의 여건 등 이 잘 어우러져야지요.
기독교인문학 교회에 적용하기
김길구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전문성과 리더십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훈련된 평신도 지도력 확보 와 주위 여건 등이 잘 맞아야 하는데 교회에서 이를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류지원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 인문학 교실, 문학 중심의 중학생 인문학 교실, 논술 준비를 위한 철학 중심의 고등학생 인문학 교실, 문학, 역사, 철학을 활용한 인문학적 지식과 체험 활동으로 자기 삶에 적용할 능력을 배양하는 대학생 인문학 교실과 매월 1회 전문가를 초청한 평신도 인문학 교실 운영 등 나이와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김현호 우선 유의할 사항으로는 도서 선택에 신중해야 하는데, 이미 검증된 서울대학교 추천도서 100권을 중심으로 시의에 맞는 화제의 책 등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니다. 독서지도에 있어서는 일차적으로 작품과 작가에 대한 해설, 평가, 기독교적 비판과 수용, 그리고 적용 등을 지도할 리더가 필요하고요. 질의 응답과 토론은 반드시 해야 하며, 동기부여를 위하여 김유정, 박두진, 이효석 등의 생가 방문이나 박물관 탐방과 톨스토이 생가나 토스토엡스키 박물관 등 해외 문학 유적지 탐방이 다른 여타 해외여행 보다 더 효과가 큽니다.
김길구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전문성과 리더십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훈련된 평신도 지도력 확보 와 주위 여건 등이 잘 맞아야 하는데 교회에서 이를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류지원 역사인물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 인문학 교실, 문학 중심의 중학생 인문학 교실, 논술 준비를 위한 철학 중심의 고등학생 인문학 교실, 문학, 역사, 철학을 활용한 인문학적 지식과 체험 활동으로 자기 삶에 적용할 능력을 배양하는 대학생 인문학 교실과 매월 1회 전문가를 초청한 평신도 인문학 교실 운영 등 나이와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김현호 우선 유의할 사항으로는 도서 선택에 신중해야 하는데, 이미 검증된 서울대학교 추천도서 100권을 중심으로 시의에 맞는 화제의 책 등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니다. 독서지도에 있어서는 일차적으로 작품과 작가에 대한 해설, 평가, 기독교적 비판과 수용, 그리고 적용 등을 지도할 리더가 필요하고요. 질의 응답과 토론은 반드시 해야 하며, 동기부여를 위하여 김유정, 박두진, 이효석 등의 생가 방문이나 박물관 탐방과 톨스토이 생가나 토스토엡스키 박물관 등 해외 문학 유적지 탐방이 다른 여타 해외여행 보다 더 효과가 큽니다.
인간, 신이 만든 수수께끼 중에서
김길구 마지막으로 세계고전 50 중에서 기억에 남는 대목 한 가지씩 말해볼까요? 저는 최인훈의 광장 중에서 ‘구약성경을 보면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을 정복한 다음 그 땅을 백성들에게 분배해 주었다. 분명 분배는 성경적인 가치이다. 그러나 그 분배는 공산주의적, 사회주의적 분배가 아니다. 여호수아는 인구비례로 분배해 주었다. 합리적 분배이다. 그리고 여호수아에게는 별도로 그 공은 인정하여 개인의 땅을 분배해 주었다. 이는 성과급 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는 분배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때문에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충분히 광장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분배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의 인격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김현호 부활 중에서 나오는 대목인데요. ‘톨스토이는 예수처럼 살고 싶어 했기에 당시 러시아 정교회를 비판했고 이로인해 이단으로 정죄되어 제1회 노벨문학상 후보에서 탈락했다. 러시아가 무너지고 소련이 정권을 잡자 톨스토이의 사회개혁 이념이 공산당 이념과 유사하다 하여 그를 복권시켜 소련을 대표하는 작가로 칭송하였다. 권력은 자신들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톨스토이를 이용했지만 톨스토이 문학은 이념을 초원하여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기념비적 빛이라고 할 수 있다.’는 부분입니다.
류지원 저는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중에서 인용할께요. ‘이 소설은 당시 독자들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우선 기성기독교를 아주 논리적으로, 그 행태를 문제 삼아 비판했고, 인간은 신에 대한 진지한 명상을 하면서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는 단초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그는 참된 신앙은 구원이냐 축복이냐가 아니라 신에 대한 고민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는 신을 맹목적으로 믿는 것보다는 신에 대한 명상, 회의, 결단 등을 통해서 믿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도전적인 명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구절입니다.
김길구 장시간 수고하셨습니다. 오늘은 묵직한 주제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오늘의 주제 《인간, 신이 만든 수수께끼》는 기독교 인문학의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 같습니다. 아울러 귀한 발제문을 주신 저자 고시영 목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정리 : 김길구 】
김길구 마지막으로 세계고전 50 중에서 기억에 남는 대목 한 가지씩 말해볼까요? 저는 최인훈의 광장 중에서 ‘구약성경을 보면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을 정복한 다음 그 땅을 백성들에게 분배해 주었다. 분명 분배는 성경적인 가치이다. 그러나 그 분배는 공산주의적, 사회주의적 분배가 아니다. 여호수아는 인구비례로 분배해 주었다. 합리적 분배이다. 그리고 여호수아에게는 별도로 그 공은 인정하여 개인의 땅을 분배해 주었다. 이는 성과급 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는 분배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때문에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충분히 광장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리적인 분배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의 인격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김현호 부활 중에서 나오는 대목인데요. ‘톨스토이는 예수처럼 살고 싶어 했기에 당시 러시아 정교회를 비판했고 이로인해 이단으로 정죄되어 제1회 노벨문학상 후보에서 탈락했다. 러시아가 무너지고 소련이 정권을 잡자 톨스토이의 사회개혁 이념이 공산당 이념과 유사하다 하여 그를 복권시켜 소련을 대표하는 작가로 칭송하였다. 권력은 자신들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톨스토이를 이용했지만 톨스토이 문학은 이념을 초원하여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기념비적 빛이라고 할 수 있다.’는 부분입니다.
류지원 저는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중에서 인용할께요. ‘이 소설은 당시 독자들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우선 기성기독교를 아주 논리적으로, 그 행태를 문제 삼아 비판했고, 인간은 신에 대한 진지한 명상을 하면서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는 단초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그는 참된 신앙은 구원이냐 축복이냐가 아니라 신에 대한 고민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는 신을 맹목적으로 믿는 것보다는 신에 대한 명상, 회의, 결단 등을 통해서 믿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도전적인 명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구절입니다.
김길구 장시간 수고하셨습니다. 오늘은 묵직한 주제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오늘의 주제 《인간, 신이 만든 수수께끼》는 기독교 인문학의 좋은 길라잡이가 될 것 같습니다. 아울러 귀한 발제문을 주신 저자 고시영 목사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정리 : 김길구 】
ⓒ 한국기독신문 & www.kcnp.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