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2-11(수)
 


홍석진 목사.jpg

교회와 백화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제임스 스미스의 문제작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라(Desiring the Kingdom)』에 답이 있습니다. 바로 “욕망”입니다. 우리는 지금 ‘욕망의 시대’에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젊은 세대로 갈수록 그런 경향이 더욱 뚜렷합니다. ‘카푸어(car poor)’나 ‘영끌족’이란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전자는 좋은 차 사느라 가진 돈 다 써버리고 가난하게 사는 경우를, 후자는 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주로 아파트)을 구매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신종 용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기성세대 대부분이 그러하겠지요. 그러나 정작 당사자들은 ‘그게 어때서?’라며 나름대로 만족감을 누리고 살아갑니다. 기존의 언론에서 다소 부정적인 논조로 이러한 현상을 보도하는 이유는 이를 ‘욕심’ 때문이라고 보기 때문인데, 차라리 “욕망”의 발로라고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욕망”이라는 개념은 좋고 나쁨의 양단에서 일종의 왕복 진자 운동을 보여 왔습니다.

제임스 스미스는 현대 프랑스 철학을 함께 연구한 기독교학자입니다. 서구권에서는 원래 욕망을 ‘결핍’을 전제로 다소 부정적으로, 즉 무언가 부족하기 때문에 욕망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2-1981)은 인간이 이성의 주체라기보다 욕망의 주체이며, 그것도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존재(거울 이론)라고 주장했습니다.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에 따르면 역사는 생산의 시대에서 소비의 시대로 넘어 왔으며, 이 새로운 시대의 핵심은 바로 “욕망”인데 ‘욕구’가 자연적 필요와 관련된다면 “욕망”은 그 너머에 있는 추상적인 어떤 개념이라 정의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자주 인용하는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는 이미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지속하려고 노력하는 코나투스(Conatus)다.”라고 한 바 있습니다. 여기서 “코나투스”라는 단어는 사도행전 14장 6절에도 등장합니다. 곧 “이방인과 유대인과 그 관원들이 두 사도를 능욕하며 돌로 치려고 달려드니”에서 마지막 단어가 이에 해당합니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미셀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가 현대는 아마도 그의 시대라고 불릴 것이라 극찬했던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6)는 “욕망은 흐르게 하고 흐르고 절단(coupures)한다”는 유명한 명제를 통해 욕망을 아예 우주의 내재적 원리이자 그 운행을 관장하는 에너지라고 선포했습니다(안티 오이디푸스, 11). 이들에 따르면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명제는 ‘나는 욕망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로 바뀌어야 하는 셈입니다. 물론 들뢰즈는 욕망을 이렇게 능동적으로 보지 않고 수동적 종합으로 이해합니다만, 아무튼 우리는 이들 사상가들의 주장을 결코 폄훼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현실을 바라보고 현실을 읽고 저마다의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감당했기 때문입니다. 교회 안에서도 염연히 욕망이 존재합니다. 현대의 그리스도인들도 저마다 이런저런 욕망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도 “돈과 욕망의 포로, 그것이 타락이다”(김기석) 식의 고전적인 해석이 아니라 욕망 개념의 개혁을 통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선한 기독교적 욕망을 새롭게 재구성해야 합니다.

성경에도 의외로 “욕망”이란 단어가 흔치 않습니다. 다만 그 앞에 “몸의 사욕에 순종하지 말고”(롬 6:12),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롬 13:14),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요일 2:16)와 같이 다소 부정적인 수식어가 붙은 채로 등장할 뿐입니다. 그러나 일절의 욕망이 부재하다면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을 바랄 수 있겠습니까? 일절의 욕망이 부정하다면 어찌 하나님께서 욕망덩어리인 사람 모양으로 오셨겠습니까?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십계명 해설에서 “사랑의 정신에 합당하지 않은 모든 욕망은 우리 마음에서 축출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Inst. 2. 12). 신자는 마땅히 사랑에 합당한 “하나님 나라를” 욕망해야 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욕망해야 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욕망해야 하고, ‘예배를’ 욕망하고 ‘선행을’ 욕망하고 ‘지복(至福)’을 욕망해야 합니다. 현대 사상가들은 현실의 욕망만 강조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보이지 않으나 바라는 신령한 이런 바들을 욕망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또한 “욕망”은 ‘생각’과 달리 실천을 전제합니다. 가령 하나님 나라를 생각만 하고 정작 실천하려들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욕망의 개혁과 재구성”이 필요합니다, 바로 지금 이 순간.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욕망”의 개혁과 재구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