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0-04(금)
 


홍석진 목사.jpg

멜라네시아 원주민들에게는 “쿨라(kula)”라고 부르는 독특한 관습이 존재했습니다. 일종의 선물 교환 시스템으로 누군가가 선물을 받으면 제공자가 아니라 다른 이웃에게 선물하는 교환 기부 형태였습니다. 북미의 인디언 중에는 부와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진수성찬을 베풀고 축제를 후원하며 상당한 가치의 선물을 하는 “포틀래치(potlatch)”를 행하는 지도자들이 있었습니다. 부족사회를 연구해서 이러한 의미심장한 결과물들을 찾아낸 마르셀 모스(Maecel Mauss)는 이러한 현상들을 두고 “평화를 얻기 위해 ‘소유권을 없애기’, 서로 죽이지 않기 위해 ‘축제를 열어 분배하기’, 동맹을 맺기 위해 ‘물건을 희생시키기’”라고 정의한 바 있습니다(『증여론(Essai sur la don)』(1924), 원문 197-202). 그런데 이런 기부와 후한 인심은 위에서 언급한 지역들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원시 사회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원래 사치스러운 기부는 경쟁이 아니라 화합을 위해, 경제가 아니라 도덕을 위해, 과시가 아니라 종교적 동기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습니까?

 

인류학적으로 볼 때 “사치”는 크게 세 개의 범주로 존재해왔습니다. 첫째는 신성한 사치 혹은 속세의 사치로 신들이나 왕들에게 고가의 물건을 바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질 리포베츠키, 엘리에트 루, 『사치의 문화』(2004), 32). 다른 표현으로 하자면 ‘사회적 사치’ 혹은 ‘에토스(ethos)적 사치’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전술한 쿨라나 포틀래치도 여기 포함됩니다. 둘째는 미학적 사치인데, 예를 들면 예술품과 같은 어떤 물건들은 사회적 위상이나 권력의 상징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귀한 존재처럼 소개되고 사랑을 받았습니다. ‘에로스(eros)적 사치’라고 할 만한 이러한 변화는 중세를 지나면서 르네상스와 근대를 잇는 중요한 하나의 표상으로 작용합니다. 셋째는 감정적 사치 즉 ‘파토스(patos)적 사치’로서 ‘사치의 현대화’라고도 할 수 있는데, 19세기 후반부터 조짐을 보이다가 20세기 들어 대유행하기 시작한 프랑스의 ‘오트 쿠튀르(haute couture)’가 그 중심에 서 있습니다. 이는 파리의 고급 양장점의 총칭인데 해가 지날수록 발전을 거듭해서 1935년 이미 4천 명이 일하고 있던 ‘코코 샤넬(Coco Chanel)’만 해도 연간 2만 8천 점의 작품(?)을 생산하고 있었습니다.

 

샤넬만큼은 아니어도 1956년에 크리스티앙 디올(Christian Dior)을 위해 일하는 사람도 1,200명이나 되었다 합니다(사치의 문화, 48). 그런데 지금 바로 그 “디올”이 대한민국의 언론과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대통령 영부인이 동사의 고가품 가방을 선물 받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유포되면서부터입니다. 그 직후 대통령 내외가 네덜란드를 방문했을 때 환영식 광장에 있던 커다란 디올 매장을 우연인지 트럭이 가리고 있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는데, 오히려 사람들의 호기심을 더 자극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아마도 지금 한국을 바라보며 함박웃음을 짓고 있는 인물은 바로 디올의 최고경영진이 아닐까 합니다. 사람들의 모방 심리를 자극해서 디올 제품이 앞으로 불티나게 팔리리라는 예측은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라고 했던 프랑스 사상가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을 굳이 동원하지 않더라도, 삼척동자라도 하겠기 때문입니다. 이미 지난해부터 “여사는 디올을 입는다”라는 문구가 등장하면서 디올의 국내 매출액은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고(6,139억) 영업이익은 102% 늘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머니투데이, 2022.6.5).

 

우리는 신이 인류 최대의 선물인 “성탄(聖誕)”을 안겨준 계절을 보내고 있습니다. 물론 성탄은 석가나 다른 성인들의 탄생을 의미하는 보통명사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독교인은 물론이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참된 의미의 성탄은 창조주가 영원 전에 나시고 영원 전부터 함께 하신 독생자를 아낌없이 인류를 위해 내어주신 사건이기 때문에 특별합니다. 세속적 사치나 미학적 혹은 감정적 사치를 위해 내어준 선물이 아니었습니다. 무언가의 대가를 바라면서 바치는 뇌물이 될 리가 만무했습니다. 이 선물을 이 땅에 투척한 이유 또한 원시 사회의 지도자들이 자신의 위대함을 과시하기 위해 대단한 가치를 지닌 것을 불태우거나 바다에 던져버리기도 했던 행태와도 달랐습니다. 절대존재이기에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따위의 이론이 적용될 여지도 전혀 없었습니다. 성탄은 창조주의 무한한 호의의 결과요, 지고지순한 순수의 산물입니다. 모스는 원시사회를 분석하며 “선물의 교환은 풍성한 부를 만든다”(증여론, 165)고 했지만, 성탄이야말로 스스로를 다 내어주면서 모든 사람을 풍성하게 만든 유일무이한 선물이었고, 지금도 가장 놀라운 선물입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시사칼럼] 선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