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13(금)
 


서임중 목사.jpg

파리 올림픽이 끝났다. 올림픽 역사상 대한민국은 이번 파리대회에서 금메달을 가장 많이 획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에서 한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로 총 33개의 메달을 획득했는데 파리 올림픽에서는 예상을 뛰어넘은 금메달13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0개로 32개의 메달을 땄다. 한마디로 국위선양과 체육인들은 물론 국민 축제다. 폭염과 장마보다 더 짜증나는 정치권 뉴스를 날마다 들으면서 불편했던 국민에게 올림픽 금메달 소식은 얼음냉수를 마시는 기분이다. 그런데도 배드민턴 세계 1위의 안세영 선수의 협회를 향한 작심 발언으로 뒤숭숭한 어두운 면이 그림자처럼 드리워져 최고 성적을 내고도 개운하지 않다. 협회와 선수의 갈등이 잘 해결되어 한국 체육 문화가 한 단계 발전되기를 바라면서 이즈음에 훌륭한 지도자의 리더십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언제부터인가 양식(良識)있는 사람이라면 오늘의 이 나라 정치지도자에 대해 회의(懷疑)한다. 그 발원지를 대부분 국민은 여의도 1번지를 지목한다. 선량(選良)들의 시정잡배만도 못한 언행을 우리는 날마다 뉴스를 통해 접하게 되면서 뉴스 시간이면 TV 채널을 돌려 마음이 구겨지지 않는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무엇인가 한참 잘못되어 가는 현상이다. 어디 정치지도자뿐이겠는가 교회 지도자에 대한 신뢰와 존경도 옛이야기로 들리는 아픈 시대를 우리는 살아간다.

 

Ph. D.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교회 지도자의 지도력에 관한 내용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조사된 바에 의하면 교회 성도들의 공통점 하나가 교회 지도자의 지도력에 대한 회의(懷疑)였다. 여기서 말하는 지도자란 목사와 장로에 국한 시켰고 지도력의 회의(懷疑)란 목사와 장로의 지도력에 대한 이해를 헤드십(headship)으로 인식을 하고 리더십(leadership)으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목사로서 자괴지심(自愧之心)에 아파하면서 보다 더 바람직한 목회 지도자가 되어야겠다는 결심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했었다.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안세영 선수가 한 말이 뇌리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내가 목표를 잡고 꿈을 이루기까지 원동력은 제 분노였다.”는 아픈 말을 지도자들은 새겨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십을 정해진 의무의 강제적 이행을 구하기 위하여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명령하며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리더십은 상대방의 진보와 향상을 도모하며 공동체의 목표를 달성하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우리라는 공동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다. 공동체는 말할 것 없이 이와 같은 리더십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도자들에게서 리더십이 아닌 헤드십이 발휘된다면 이는 참으로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오늘의 교회 지도자들이 예수의 리더십이 아닌 헤드십을 발휘하는데서 오늘의 교회가 갈등과 무질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교회의 평안과 부흥은 올바른 리더십에서 가능하며 그로부터 교인들이 그리스도를 향하여 성장하며 사랑 안에서 스스로 세워지게 됨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분야의 지도자도 다를 바 없다.

 

신학적 인간론에서 인간을 Being이 아닌 Becoming으로 정의한다. 즉 존재가 아닌 존재화, 곧 되었다가 아니라 되어져 간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지도자들의 약점이 무엇이 ‘되었다’라는 의식에서부터 걸음이 잘못되어 가고 있기에 그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공동체의 아픔은 이루 형언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본다. 그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되어있지 않는 지도자의 지도력의 문제인 것이다. 여기서 발생되는 것이 지배자로서의 자기 모순에 빠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직분을 마치 계급사회의 직무로 오해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지도자가 아닌 지배자로 전락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정직한 이해의 부족에서 오는 현상이며 그로 인하여 공동체 전체가 아파하고 결국에는 파멸에 이르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도자는 항상 이론과 실제, 그리고 가르치는 것과 실제로 행동하는 것의 차이로 고민하게 된다. 정치나 사회교육이나 종교 등, 모든 분야의 공동체는 지도자의 행동철학을 보고 싶어 한다.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으로서의 지도자를 요구한다는 말이다. 파리 올림픽에서 양궁이나 탁구의 경우 지도자의 헤드십이 아닌 리더십을 언론은 조명한 것을 공감한다. 말할 것 없이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배울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리더십은 긍휼이었고 겸손이었고 섬김이었다. 그것이 훌륭한 지도자의 리더십이다.

 

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보면 살신성인(殺身成仁)의 가르침이 있다. 자신을 죽여서라도 인(仁)을 이룬다는 뜻인데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여 ‘인’을 저버리지 않으며 자신을 죽여서라도 ‘인’을 이룬다‘(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고 했다. 이 가르침으로 우리의 선조들은 공(公)을 위해 사(私)를 희생하는 것은 최고의 삶의 가치로 알았고 이를 수행하는 것이 지고한 군자의 길임을 가르쳤던 것이다.

 

좁쌀만 한 힘이 있어도 그 힘을 못 써먹어 안달하는 소인배, 명예와 권력을 가지게 되면 별별 희한한 짓을 당연한 듯 행사하는 졸부들, ‘네가 있기에 내가 있다’가 아니라 ‘내가 있기에 네가 있다.’는 자가당착의 병리적 현상에 젖어있는 사람이 지도자로 있는 한 공리(公利)는 요원한 것이다. 세월이 그래서인가? 요즘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서 ‘내 탓이오’가 없고 하나같이 너의 잘못으로 돌리면서 ‘나는 소크라테스요 너는 돼지’라는 논리로 예수님이 그렇게 경계했던 바리새인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으니 걱정스럽기만 하다.

 

대한배드민턴협회 국가대표 운영지침에 ‘선수들은 지도자의 지시와 명령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한다’와 ‘담당 지도자의 허락없이는 훈련에 불참하거나 훈련장을 이탈할 수 없다’는 조항이 대한양궁협회 국가대표 운영지침과 비교되고 언론에 조명되는 이유는 헤드십과 리더십을 통한 결과가 어떤 것인가를 파리 올림픽 경기에서 배드민턴 선수와 양궁 선수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되면서 훌륭한 지도자의 리더십을 생각해 본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임중칼럼] 지도자의 헤드십과 리더십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