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2-11(수)
 
조사전문회사 한국갤럽(회장 박무익)은 ‘한국인의 종교 1984-2014’를 지난 1월 28일, 2월 4일, 10일 3주간에 걸쳐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종교 실태, 종교 의식, 종교 단체와 종교인에 대한 인식 3가지 주제로 나눠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갤럽은 1984년 종교조사를 처음 시작해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추적 조사를 했다. 이후 1989년, 1997년, 2004년에 이어 2014년 제5차 비교 조사를 실시해 지난 30년간 변화를 추적했다.

▲종교 실태
한국갤럽이 2014년 4월 전국(제주도 제외)의 만 19세 이상 남녀 1,500명에게 현재 종교를 믿고 있는지 물은 결과 50%는 ‘믿는다’, 50%는 ‘믿지 않는다’고 답했다.
종교를 믿는 사람(이하 종교인)은 남성(44%)보다 여성(57%)에 더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31%, 30대 38%, 40대 51%, 50대 60%, 60세 이상 68% 등 고연령일수록 많았다.
종교인 비율은 1984년 44%, 1989년 49%, 1997년 47%에서 2004년 54%까지 늘었으나 2014년 조사에서는 50%로 줄었다. 최근 10년간 종교인 비율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청년층에 있다. 10년 전 20대는 45%가 종교를 믿었지만 현재 30대는 38%로 7%포인트 줄었으며, 현재 20대 중 종교인은 31%에 불과하다. 2030 세대의 탈(脫)종교 현상은 종교 인구의 고령화, 더 나아가 향후 10년, 20년 장기적인 종교 인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2014년 현재 한국인의 종교 분포는 불교 22%, 개신교 21%, 천주교 7%로 불교와 개신교가 비슷한 비중을 보였다. 연령별로 보면 불교인 비율은 2030 세대(약 10%)와 5060 세대(30% 상회)의 차이가 큰 데 반해, 개신교인과 천주교인의 연령별 분포는 상대적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종교 분포에는 지역별 특성도 있었다. 불교인 비율은 우리나라 동쪽인 부산/울산/경남(42%)과 대구/경북(32%)에서 높았고 개신교인 비율은 서쪽의 광주/전라(31%)와 인천/경기(27%)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대조를 이뤘다.
특히 한국갤럽의 발표에 의하면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개신교는 9%를 차지, 올해 실시될 인구총조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물론 이번 발표는 표본조사라는 한계가 있으나, 만약 9%가 사실일 경우 평소 부울경 지역 교계에서 말해 오던 10~15%의 비율이 더욱 하락한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1.jpg
 
본인과 가족의 종교 일치율을 보면, 부모가 특정 종교를 믿는 경우 자녀도 해당 종교를 믿는 경향이 있고, 그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같은 종교를 믿는 배우자를 찾게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는 불교인의 가족 구성원 종교 일치율이 높은 편이지만, 불교인 다수가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향후 가족 구성원을 통한 종교 인구 확장성은 전 연령층에 고르게 분포한 개신교 쪽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의 개인 생활에 종교가 얼마나 중요한지 물은 결과 ‘(매우+어느 정도) 중요하다’ 52%, ‘(별로+전혀) 중요하지 않다’ 48%로 양분됐다. 종교별로 보면, 종교가 개인 생활에 ‘중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은 개신교인(90%)이며 그 다음은 천주교인(81%), 불교인(59%), 비종교인(30%) 순이었다.
개신교인이 종교에 대한 중요도, 헌신도 등이 대체로 높게 평가됐다. 개신교인의 80%가 일주일에 1번 이상 교회를 출석하며, 이는 1984년 62%에서 2014년 80%까지 약 20%포인트 늘었다. 또 십일조 이행률에 대해서도 1984년 42%였으나 2014년 68%로 증가하며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비종교인(742명)에게 가장 호감을 느끼는 종교를 물은 결과 25%가 ‘불교’를 꼽았고, 그 다음은 ‘천주교’(18%), ‘개신교’(10%) 순이었으며 절반에 가까운 46%는 ‘호감 가는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2014년 현재 한국인 중 불교인 22%, 개신교인 21%, 천주교인 7%라는 점을 감안하면, 비종교인의 ‘천주교’에 대한 호감도는 높고 ‘개신교’에 대한 호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기획2.jpg
 
▲종교 의식
한국인의 종교의식 중 불교적 성향 파악을 위해서 ‘윤회설(輪廻說)’과 ‘해탈설(解脫設)’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개신교인의 윤회설(34%)이나 해탈설(43%) 긍정률이 2004년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늘어 불교인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이른 점이다.
한국인의 종교의식 중 불교적 성향 파악을 위해서 ‘윤회설(輪廻說)’과 ‘해탈설(解脫設)’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개신교인의 윤회설(34%)이나 해탈설(43%) 긍정률이 2004년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늘어 불교인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이른 점이다.
기획3.jpg
 
이는 영화, 드라마 등 미디어의 영향일 수도 있지만 교회의 신앙교육 부족도 한 몫 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비단 불교적 성향 파악만이 아니라 기독교적 성향을 묻는 ‘창조설’과 ‘절대자의 심판설’에서도 나타났다. 1984년 개신교인의 창조설 긍정률은 80%였으나 30년간 59%로 감소했으며, 심판설 역시 1984년 76%에서 2014년 61%로 감소했다. 복음의 핵심이 창조와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50~60%만 믿는다는 것이다.기획4.jpg
 
▲종교 단체와 종교인에 대한 인식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을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인이 5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불교인(50%)과 천주교인(48%)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비종교인은 40%로 가장 적었다. 한국인의 절반(47%)은 여전히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비율은 1980년대 약 70%에서 크게 낮아졌다.
최근 한국교계의 사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고, 교회 내부적으로도 비판 및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 교회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교인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종교 단체와 관련해서는 ‘종교 본래의 뜻 상실’,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에 관심’, ‘헌납금 강요’ 등 세 가지 측면의 인식 변화를 살펴봤다. 먼저 ‘대부분의 종교 단체가 종교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말에 대해서 개신교인(52%)은 절반 가량만 동의했고, 30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 또 ‘대부분의 종교 단체는 참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교세 확장에 더 관심이 있다’는 말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개신교인(53%)에서 가장 적었다. 특히 타 종교에 비해 개신교인에서만 ‘그렇다’는 응답이 1984년 71%에서 2014년 53%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한 점이 두드러졌다. ‘헌금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말에 대해서는 개신교인의 비율이 46%에 그쳐 헌납 강조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타종교는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개신교만 뚜렷한 변화가 있었다. 1984년에는 개신교인의 67%가 헌납금 강조가 지나치다고 여겼으나 이후 30년에 걸쳐 46%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앞선 발표에 의하면 개신교인의 십일조 이행률은 1984년 42%에서 2014년 68%까지 증가한 것으로 볼 때, 교회 지도자들의 헌금 강조는 감소한 반면 교인들 스스로 헌금을 실천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을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인이 5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불교인(50%)과 천주교인(48%)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비종교인은 40%로 가장 적었다. 한국인의 절반(47%)은 여전히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비율은 1980년대 약 70%에서 크게 낮아졌다.
최근 한국교계의 사건 사고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고, 교회 내부적으로도 비판 및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 교회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교인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종교 단체와 관련해서는 ‘종교 본래의 뜻 상실’,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에 관심’, ‘헌납금 강요’ 등 세 가지 측면의 인식 변화를 살펴봤다. 먼저 ‘대부분의 종교 단체가 종교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말에 대해서 개신교인(52%)은 절반 가량만 동의했고, 30년 전에 비해 감소했다. 또 ‘대부분의 종교 단체는 참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교세 확장에 더 관심이 있다’는 말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개신교인(53%)에서 가장 적었다. 특히 타 종교에 비해 개신교인에서만 ‘그렇다’는 응답이 1984년 71%에서 2014년 53%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한 점이 두드러졌다. ‘헌금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말에 대해서는 개신교인의 비율이 46%에 그쳐 헌납 강조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타종교는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개신교만 뚜렷한 변화가 있었다. 1984년에는 개신교인의 67%가 헌납금 강조가 지나치다고 여겼으나 이후 30년에 걸쳐 46%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앞선 발표에 의하면 개신교인의 십일조 이행률은 1984년 42%에서 2014년 68%까지 증가한 것으로 볼 때, 교회 지도자들의 헌금 강조는 감소한 반면 교인들 스스로 헌금을 실천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기획5.jpg
 
종교단체 즉 교회에 대한 교인들의 평가는 긍정적인 반면, 목사, 선교사 등 지도자에 대한 불신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요즘 우리 주변에 품위가 없거나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얼마나 많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매우 많다’ 22%, ‘어느 정도 있다’ 65%로 전체 응답자의 87%가 ‘(매우+어느 정도) 있다’고 답했고 ‘(별로+전혀) 없다’는 13%에 불과했다.
품위나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많다는 의견은 불교인(88%), 개신교인(85%), 천주교인(89%), 비종교인(87%) 등 종교를 불문하고 90%에 육박했다.
기획6.jpg
 
자격 미달 성직자가 흔하다는 의견은 1984년 65%, 1989년 71%, 1997년 79%, 2004년 87%까지 꾸준히 늘었지만 2014년 이번 조사에서는 더 이상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격 미달 성직자가 더 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이미 10년 전부터 우리 국민 열 명 중 아홉 명이 자격 미달 성직자가 많다고 느끼고 있어 더 이상 악화될 여지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한국갤럽 http://www.gallup.co.kr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교인들, 교회에는 긍정적 목사에겐 부정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