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0-04(금)
 
박병진목사.jpg▲ 박병진 목사(총신명예교수 교회헌법)
 10년 후에 보자던 호통 왕성 ‘기장’ 현실 되고, 총회장, 임원불신임 선언 ‘통합’총회 터전 되다
 
1912년에 창설된 ‘조선예수교 장로회 총회’는 한일합방(韓日合邦)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일어난 박해 이전에 대원군이 박해하던 천주교회처럼 여기는 처지에서 혹심한 박해를 받아오던 중, 한일합방은 나라만 빼앗긴 것이 아니고, 이른 바 국어상용(國語常用)이라며 우리말과 우리글을 쓰지 못하게 하였으며, 창씨개명(創氏改名) 운운하면서 대개 한글자로 된 성에 두글자로 된 이름을 가져온 한국 고유의 전통을 빼앗아 일본인들처럼 두글자 성을 가지게 하였으며, 처녀들을 잡아다가 일본군의 노리개를 삼았으며, 특히 일본귀신 ‘아마테라스 오오미가미’(天照大神)라는 태양신의 사당을 지어놓고 강제로 참배케 할 뿐 아니라, 일본의 군왕을 사람으로 나타난 신(現人神)이라며, 천황이 거하는 곳 동방을 향하여 90도 각도로 허리를 굽히는 동방요배까지 강행케 했었다.
그러나 이같은 모질스런 박해에도 굴하지 아니하니 감옥에 처넣어 옥고를 치르게 하거나, 손톱 발톱을 뽑아내고, 귀를 자르고 눈을 뽑는 등 온갖 만행으로 죽임을 당하던 중에 하나님의 은혜로 8.15 해방을 맞이하게 된다.
어찌되었든지 일제침략 시대에는 조선예수교 장로회가 일본 기독교단처럼 둔갑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꾸준히 하나의 교단을 이루고 있은 것으로 볼 수는 있으려니와, 해방 후 조선신학교 김재준 교수의 자유주의 신신학을 가르치는 일로 해서 ‘기장측’이 갈리고, 이어서 해방 후 옥중에서 풀려난 산 순교자 같은 주의 종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고려신학교에 대하여, 일본 침략시절에 신사참배에 미소끼바라이라는 귀신을 섬기는 의례에까지 앞장섰던, 그리하여 부산, 경남지역에서 교권을 장악했던 김 모 씨가 노회장이 되면서 고려신학교를 몰아내는 사태가 총회에까지 이어지니 고려측이 갈렸으며, 당시 총회가 정회된 후 난데없이 총회장과 총회임원을 불신임한다는 선언에 따라 오늘의 통합측의 터전이 형성되었으며, 1979년 제64회 총회시에는 총신 김학장의 모세 5경에 대한 이설(異說)과 총신의 재단이사회 사유화(私有化), 전권위원 전권정치, 노회에 대한 불법 난도질 등등으로 합동측이 주류와 비주류(당시 총회가 회집된 대구 일간지들은 진보계 인사는 예배당에 들어가서 총회를 진행하고, 보수계 인사는 예배당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쫓겨났다는 뜻으로 보도하고 있었다.  그래서 비주류는 합동측의 보수계란 뜻에서 세칭 그대로 합동보수라고 불린다) 로 갈렸고, 합동보수측은  그 후에도 합동개혁이니, 예장이니, 개혁이니, 청담이니 하고 이합집산(離合集散)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이 교단이 여러갈래로 나뉘는 과정 속에 교단을 새로 형성하는 선언과 천명(闡明) 등 상징적인 발언을 보면, 보는 이에 따라 의견이 다를 수는 있으려니와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성경에 오류가 있다는 자유주의 신신학의 대부 김재준 교수가 권 제6장 제42조(이단과 교회 불법분리 죄)에 의해 목사면직이 선포된 후, 조선신학교 출신은 강도사나 목사장립을 금하게 되자, 1952년 6월 3일 대구에서 호헌대회를, 그 이듬 해 6월 10일 서울 수유리 한신 강당에서 제38회 총회를 다시 따로 모여 총회장에 김세열을 선임하였고, 그 다음해에 ‘대한기독교 장로회 총회’로 칭호를 바꾸었는데, 당시 총회를 떠나가면서 경동교회 강원룡 목사가 회중을 향해 “10년 후에 보자!”고 하였다는데, 이 말이 ‘기장’형성에 깊은 인상을 준 선언처럼 여겨진다.
같은 무렵 8.15 해방과 함께 신사참배를 반대하다가 감옥으로 끌려가서 죽다가 남은 살아 있는 순교자 격인 주의 종들의 생각에는 평양신학교는 일제의 박해로 어용(御用) 신학교가 되는 일을 피해 자진 폐교되었고, 이남의 조선신학교는 조선총독부의 마음에 들어 허용된 자유주의 신신학의 모체가 되었으니 기대할 수가 없고, 그런즉 가장 시급한 것은 개혁주의 보수정통신학과 신앙의 절개를 지키는 청순하고 순결한 삶을 표방하는 하나님의 종들을 양성하는 신학교 설립이라고 생각하고 1946년 9월 20일 부산 금성중고등학교 자리에 임시교사를 마련하고 ‘고려신학교’를 개교하였는데, 교단의 힘을 모아 육성 발전케 하지는 못할망정, 1948년 4월 20일에 서울 새문안교회당에서 회집된 제34회 총회는 고려신학교는 총회와 아무런 관계도 없어 “고려신학교 입학 지원자에게는 천서를 주지 않기로 가결하다”(1948년 제34회 총회록 p.23)고 결의하였으며, 그 이듬해 1949년에도 서울 새문안교회당에서 회집된 제35회 총회는 ‘장로회신학교를 총회직영 신학교로 가결하면서 (동 총회록 p.58), …’고려신학교에도 거년 총회결정대로 노회가 관계를 가지게 되는 일은 총회의 결의에 위반되는 일이매 삼가하심이 마땅하오며…‘라고 결의하였으며, 1950년 대구제일교회당에서 회집된 제36회 총회는 경남노회 총대의 회원권 문제를 보류한채 총회를 개회하였으나, 개회 후에도 양대 세력으로 갈린 경남노회 총대문제로 회의를 진행하지 못하고 정회, 혹은 비상정회를 거듭하다가 “금번총회는 9월 첫주일 후 화요일(19일) 오후 7시 30분까지 정회하되, 장소는 대구에서, 회원은 금번 총회원으로, 비용은 각노회 상납금 중에서 지출할 것” 등을 결의하였는데, 이날이 바로 1950년 4월 25일 이었다.
그런데 정확히 2개월 후 즉 1950년 6월 25일에 동란이 일어났으니, 이것은 정녕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사태로 말미암는 하나님의 진노하심으로 여겨질 때에 우리 민족의 살길은 총회의 정상화와 거족적인 회개에 달린 것은 아니었는가?
정회되었던 총회는 6.25로 말미암아 9월 19일에 대구에서 속회되지 못하고 해가 바뀐 1951년 5월 25일에 부산중앙교회당에서 속회되어 마산측, 3분측, 중간측으로 갈린 경남노회 문제(실제로는 목숨을 걸고 신앙절개를 지킨 출옥성도들과 신시참배자들의 대립이 아니었을까?)에 있어서 출옥성도 중심의 경남 법통노회를 배격하고 비고려측 총대를 받아들였는데, 문제는 그 다음해에 터져 버리게 된다.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고]장로교단의 분열과 형성을 이룬 천명(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